시민교육론-듀이가 언급한 반성적사고(Reflective Thinking)가 무엇이며 경험의 재구성의 입장에서 설명하고, 자신이 교단에서 교육을 시킨다는 입장에서 듀이의 교육을 평가해 보세요
- 최초 등록일
- 2021.11.17
- 최종 저작일
- 2021.06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1. 서론
2. 듀이의 반성적 사고 (Reflective Thinking)
3. 경험의 재구성 입장에서 바라본 듀이의 반성적 사고
4. 교육자의 입장에 서서 평가하는 듀이의 교육학
5.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미국 출신의 듀이(John Dewey, 1859~1952)는 유명한 철학자이자 교육학자이며, 흔히 근대 교육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을 주장하며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운동을 주도한 그는 맥락을 고려하지 않는 주입식 교육을 부정적으로 바라보았으며 실생활 속에서 사회생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육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번 레포트에서는 듀이의 저서 <민주주의와 교육(Democracy And Education)>을 참고하며 경험의 재구성의 입장을 중심으로 듀이가 언급한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내가 교육자의 입장이 되어 듀이의 교육을 평가해보도록 하겠다.
2. 듀이의 반성적 사고 (Reflective Thinking)
듀이의 반성적 사고는 인간이 난처한 상황을 정면 돌파하고자 할 때 시작된다. 듀이의 저서 <사고의 방법 (How We Think)>에 따르면, 반성적 사고는 불명료하고, 의심스럽고, 갈등을 일으키고, 혼란스러운 상태의 상황을 명료하고, 일관되고, 안정되고, 조화로운 상황으로 전환할 수 있다.
모든 사고에는 시작과 끝이 있는데, 반성적 사고는 괴롭고, 당황스럽고,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시작하여 명료하고 문제가 잘 해결된 상황에서 종결된다.
참고 자료
박주희, 양은주, 『교육적 경험의 의미와 방법: 듀이의 교육이론과 실험학교 실천에 기초한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2019
노진호, 『듀이(J. Dewey)의 교육이론에서 반성적 사고의 위상』, 교육철학회, 1998
이돈희, 『듀이의 지력 개념 (4): 사색과 반성적 사고의 모형』, 에듀인뉴스,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