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에 따른 인구변화로 인하여 우리 사회는 사회보장 부담 증가가 영향을 줄 것이다가 42.2%,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경제성장 둔화가 영향을 줄 것이라고 31.8%가 대답했다. 일반적으로 남성의 대부분은 노동력 부족에 따른 경제성장 둔화로 대답하였으며 여성들은 사회보장증가에 대한 영향이 높을 것 같다고 대답하였다.
우리나라의 고령 인구의 비율이 갈수록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2000년도에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2017년 고령사회로 진입하였다. 2020년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고령자 통계‘자료에 의하면 2020년 우리나라의 65세 이상의 고령인구는 전체 우리나라의 인구의 15.7%로 앞으로의 4년 후인 2025년에 20.3%를 넘으면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2030년 25.0%, 2036년에는 30.5%, 2040년 33.9% 2050년 39.8% 2060년 43.9% 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는 우리가 이 초고령화의 사회를 피할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역별 고령인구의 비율을 보면 17개의 광역시도 중 전남이 20.7%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경북 20.7%, 전북 20.6%, 강원 20.0%, 부산 18.7%, 충남 17.7%, 충북 17.0%, 경남 16.5%, 대구 16.0%, 서울 15.4%, 제주 15.1%, 대전 13.7%, 광주 13.7%, 인천 13.4%, 경기 12.7%, 울산 12.0%, 세종 9.3% 순으로 나타났다. 부양가족의 형태가 많은 수도권인 경우에는 서울과 인천 경기 지역은 현재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의 가장 큰 문제는 노후가 준비되지 않은 고령자가 많고 은퇴 연령층의 빈곤 비율이 높은 것 이다.
참고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이윤경외, 2020-26 저출산 고령사회 대응 국민 인식 및 가치관 심층조사 , 2020.12
· UN기준에 따라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7%인 사회를 고령화 사회, 14%인 사회를 고령사회, 20% 이상인 사회를 초고령화 사회라고 한다.
· 2020년 고령자 통계 , 통계청 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 2020-09-28 )
· 시사포커스 이청원기자 2025년 초고령사회 韓, '고령화 정책' 전담기관 시급...고령인구 전남'최다' http://www.sisafocus.co.kr (2021.05.27)
·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노인실태조사 (2021.06.07)
· 로앤비 저출산 고령사회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 의안번호 2110021 (양정숙의원등10인) 제21대 (2021.5.11)
· 로앤비 법률 제 12449호 저출산 고령사회기본법 일부개정 (2014,03.18)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http://www.betterfuture.go.kr/front/committee/organizationFunction.d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20-26 이윤경 외 저출산 고령사회 대응 국민 인식 및 가치관 심층조사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제4차 저출산 고령사회기본계획 2021년도 분야별 시행계획 (2021.3)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18-28 국제기구와 주요 선험 국가의 고령화 대응 정책 분석 주보혜 201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