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본론
1) <오이디푸스 왕> 분석
2)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분석
3)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속 오이디푸스의 모습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포클레스의 저서 <오이디푸스 왕>은 아리스토텔레스가 가장 완벽한 비극의 전범이라고 평가한 것을 뒷받침하듯 영화 <올드보이>, <박쥐> 등 현대 사회의 다양한 작품에서 모티프로 쓰였다. 많은 사람들이 <오이디푸스 왕>을 끔찍한 신탁과 운명에 따라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를 취하여 아이까지 낳게 된, 마지막에는 결국 스스로 눈까지 찌른 비운의 왕에 대한 이야기라고 말한다. 심지어 남자아이가 어머니에게 성적인 집착을 느껴 아버지를 적대하고, 경쟁자로 생각하는 감정을 정신분석학적 용어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 부른다. 이렇듯 현대사회에서는 <오이디푸스 왕>을 오직 ‘비극적 요소’에만 집중하여 비교·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필자의 생각은 조금 다르다. <오이디푸스 왕>은 오이디푸스가 다양한 사건들을 거쳐, 결국 자신의 정체성을 찾게 된 과정을 담은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사건이 전개되는 내내 오이디푸스는 계속해서 자신이 누구인지 알고자 했다. 진실이 수면 위로 서서히 떠오를 때, 이오카스테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을 찾는 일을 멈추지 않았다.
참고자료
·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 강대진 옮김, 민음사
·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영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