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목차
Ⅰ. 본론
1. 질병고찰
2. 간호사정(Nursing Assessment)
3. 간호과정
Ⅱ. 결론 및 제언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병고찰
1. 정의
크룹(Croup)은 후두개와 후두의 염증과 종창으로 생기는 여러 가지 상기도 질환을 가르키는 용어이다. 바이러스 크룹증후군(croup syndrome)은 경련성 후두염(경련성 크룹, spasmodic croup)과 후두기관기관지염(laryngotracheobronchitis,LTB)을 포함한다. 세균성 크룹증후군은 세균성 긴관염(bacterial tracheitis)과 후두개염(epiglottitis)을 포함한다. 급성경련성 후두염, 후두기관기관지염과 세균성 기관지염은 성별을 불문하고 모든 연령군의 아동에게 많이 발생한다. 후두개염은 이전에는 흔히 발생하는 심각한 호흡기 질환이었지만,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Haemophilus influenzae) B형 백신 접종을 시작한 후 감소되어 미국의 경우에는 드물게 발생한다.
세균성 증후군
-세균성 기관염
포도상구군, Moraxella catarrhalis, 유형을 분류할 수 없는 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균, 바이러스성 후두기관기관지염이 세균성 중복 감염으로 진행될 수도 있음
-후두개염(supraglottitis)
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균, A군베타용혈성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3. 증상
초기증상은 흡기 시 그렁거림, 개 짖는 소리 같은 기침, 쉰목소리 등이다. 이중 경련성 후두염과 후두기관기관지염이 가장 흔한 질환이지만 후두개염과 세균성 기관염이 더 심각하다.
바이러스성 증후군
-급성 경련성후두염(경련성크룹)
열이 없고, 경미한 호흡곤란, 개짖은 소리나는 기침, 호흡기 감염증상은 나타나지 않으며 발작은 몇시간 내로 사라지며 다음날이면 호전됨
참고자료
· 김영혜 외 (2020), 최신아동간호학Ⅱ, 수문사, 43-45
· 박은숙 외(2014),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하), 현문사, 209-211
·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