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성인간호학 췌장암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실제 병원에서 실습하며 작성한 케이스 입니다.
문헌고찰, 검사, 약물,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2개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I. 문헌고찰
II. 간호력
III. 진단적 검사
IV. 투약
V. 간호과정
VI. 참고문헌
본문내용
I. 문헌고찰
1. 정의
췌장암은 췌장에 생겨난 암세포의 덩어리로 이것을 종괴(종양 덩어리)라고 한다. 췌장암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90% 이상은 췌관의 외분비 세포에서 발생하기에, 일반적으로 췌장암이라고 한다. 췌장암은 발생 위치에 따라 증상에 차이가 있으며 머리(두부), 몸통(체부), 꼬리(미부)의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췌장암은 두부에 많이 발생한다. 또한,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간, 담낭, 비장 등의 장기에 둘러싸여 있는 위치 때문에 암의 발견이 어려운 편이다.
병태생리 및 원인(위험요인)
2. 병태생리
췌장은 간 다음으로 큰 소화샘으로 위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회백색의 장기이다. 췌장은 췌관을 통해 많은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외분비샘인 동시에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하는 내분비샘이다.
췌장 머리(두부)는 십이지장의 만곡부에 놓여 있고 췌장 꼬리(미부)는 좌측에 있는 비장에 닿는다. 췌관은 췌장 꼬리에서 시작하여 머리를 향하여 수평으로 주행하며, 많은 체관과 연결되며 결국 총담관과 합쳐서 십이지장에 위치하는 바터팽대부로 연결된다. 십이지장의 바터팽대부의 오디조임근은 십이지장으로 들어가는 담즙과 췌장액의 방출을 조절한다.
췌장액 분비조절은 호르몬 조절과 신경 조절로 이루어진다. 부교감신경은 췌장의 내분비 및 외분비 기능을 지배하고 교감신경은 샘세포를 지배하여 효소의 분비를 자극한다. 부교감신경은 췌장의 내분비 및 외분비 기능을 지배하고 교감신경은 샘세포를 지배하여 효소의 분비를 자극한다. 췌장은 정상적으로 하루에 1200-1300ml의 췌장액을 생산한다. 췌장액은 투명한 알칼리성의 용액으로, 탄수화물, 지방, 그리고 단백질을 소화시키는 소화 효소를 포함하고 있다.
췌장암은 악성도가 매우 높으며 보통 무증상으로 성장하므로 진단될 때는 치유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 암종은 췌장의 어느 부위에서도 발생하나 대체적으로 췌장의 두부(머리) 60%, 체부(몸통) 15~20%, 미부(꼬리) 5%가 발생한다. 췌장 두부의 종양은 바터팽대부, 총담관, 십이지장 등에 영향을 미치며 비교적 초기에 담도 폐색 증상이 나타난다.
참고자료
· 황옥남, 유양숙 외(2018) 3명/성인간호학 상/현문사
· Meg Gulanick, Judith L. Myers(2019)/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현문사
·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 국가암정보센터-췌장암
·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1/cancer/view.do?cancer_seq=511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