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문헌고찰
1. 자연분만(NSVD,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의 정의
2. 분만의 전조증상
3. 분만의 단계
Ⅱ. 간호력
1. 일반 간호정보
2. 과거 분만력 및 임신관련정보
3. 입원시 상태
4. 분만기록
Ⅲ. 검사
Ⅳ. 약물
Ⅴ. 간호과정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자연분만(NSVD,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의 정의
- 자궁 수축, 즉 진통에 의해 자궁경부가 점차 얇아지고 열리면서 결국에 태아가 질을 통해 바깥으로 만출되는 과정
2. 분만의 전조증상
분만이 곧 임박했음을 암시하는 단계로, 다음의 증상이 나타난다.
① 태아하강감 (Lightening)
- 아두가 골반강 내로 들어가게 됨으로써 자궁이 아래로 처진 상태에서 앞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복부팽만과 횡격막 압박이 경감된다.
② 가진통 (False Labor)
- 진진통에 비해 불규칙적이고, 자궁개대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슬이 나타나지 않으며, 걸을수록 통증이 완화되는 특징이 있다.
< 중 략 >
3. 조기양막파열 (PRO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진통이 시작되기 전에 양막이 파열되는 것을 말한다.
1) 진단
① Nitrazine 검사
- 질 내부는 산성이고, 양수는 약알칼리성이라는 사실에 기초한 방법으로, 노란색의 검사 종이가 담청색으로 변하는 것을 통해 양막 파열을 확인한다.
② 질경
- 자궁 경부에 투명한 액체가 고여있는 것을 확인하여 양막이 파열된 것을 알 수 있다.
2) 합병증
양막이 파열된 후 24시간이 지나도록 분만이 진행되지 않으면 감염의 위험이 있다. 자궁 내 감염은 산모에게 나타나는 심각한 합병증이며, 염증이 양막으로 퍼지면 융모양막염, 탯줄로 퍼지면 제대염을 유발한다. 비염증성 위험성은 제대탈출, 제왕절개분만, 태반조기박리, 폐발육부전으로 인한 호흡곤란 등이 있다.
3) 간호
재태기간 37주 이전에 양막이 파열된 경우, 절대 안정을 취하면서 태아 심음을 모니터링하며 분만을 지연시키고, 항생제와 때로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하기도 한다. 재태기간 37주 이후에 양막이 파열된 경우, 24시간 안에 정상분만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예방적인 항생제 투여와 함께 유도분만을 실시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