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화학및실험1)]금속의 활동도 서열 결정 예비+결과 레포트 A+자료
- 최초 등록일
- 2021.11.02
- 최종 저작일
- 2020.05
- 8페이지/ MS 워드
- 가격 1,500원
소개글
"[일반화학(화학및실험1)]금속의 활동도 서열 결정 예비+결과 레포트 A+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목표
2. 실험 이론
3. 실험 방법
4. 기구 및 시약
5. 참고 문헌
6. 실험 결과
7. 관찰 및 결과 분석
본문내용
1. 실험 목표
금속과 금속 이온 수용액과의 반응을 통해서 산화제와 환원제의 상대적인 세기를 정해본다.
2. 실험 이론
물질에 의해 전자를 잃는 것이 산화(oxidation)이다. 원자, 이온, 분자가 더 큰 양전하를 띠면(즉, 전자를 잃으면), 그것은 산화 되었다고 한다. 반면 물질이 전자를 얻는 것이 환원(reduction)이다. 원자, 이온, 분자들이 더 많은 음전하를 띠면(즉, 전자를 얻으면), 그것은 환원 되었다고 한다.
어떤 산화-환원 반응이든 산화와 환원은 함께 일어나야 한다. 한 물질이 산화되면 다른 물질은 환원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물질을 산화제(oxidizing agent)라고 한다. 산화제는 다른 물질로부터 전자를 얻으므로 자신은 환원된다. 반면에 환원제(reducing agent)는 다른 물질에 전자를 주기 때문에 다른 물질을 환원시키고, 이 과정에서 자신은 산화된다.
가장 일반적인 산화-환원 반응은 금속의 부식(corrosion)이며, 아래 예시는 산소 분자(O2(g))에 의한 칼슘 금속(Ca(s))의 산화 반응이다.
2Ca(s) + O2(g) ➜ 2CaO(s)
이때 칼슘(Ca(s))은 산화 되었고, 산소 분자(O2(g))는 환원 되었다.
산화 용이성이 감소하는 순서에 따라 나열한 금속의 도표를 활동도 서열(activity series)이라고 한다. 목록에 있는 어떠한 금속이든 그 금속 아래에 위치한 원소의 이온에 의해 산화될 수 있다. 이는 금속이나 금속의 염과 산 사이에 반응이 일어날 것인지를 예측할 때 사용할 수 있다.
3. 실험 방법
Ⅰ.
① 깨끗한 시험관 1~9까지 번호를 표시한다.
1번~3번 시험관에 AgNO3 용액 2mL를 넣는다.
4번, 5번 시험관에 Cu(NO3)2 용액 2mL를 넣는다.
6번, 7번 시험관에 Pb(NO3)2 용액 2mL를 넣는다.
8번, 9번 시험관에 Zn(NO3)2 용액 2mL를 넣는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