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실험 방법
1) 열용량 측정
2) 중화열 측정 (강염기+약산)
3) 중화열 측정 (강염기+강산)
4. 실험 결과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요약
얼음물이 얻은 열량이 Dewar 병 및 그 안에 든 500 ml의 물이 잃은 열량과 같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열용량을 측정한다. 강염기인 NaOH를 약산인 CH3COOH와 강산인 HCl로 중화 시켜 각각의 온도 변화를 구한 후 열용량을 이용하여 중화열을 계산한다.
산 또는 염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25 ℃에서 묽은 용액 상태의 강염기 1mol이 강산 1mol과 반응하면, 55,835 J의 열이 발생된다.
약산은 해리하는 데 열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NaOH를 CH3COOH로 중화시킬 때, 중화열은 55,835 J 보다 작은 값이 측정된다. 또한 염의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pH는 7보다 높게 나타난다.
NaOH와 HCl는 강염기, 강산이므로 둘을 반응시켰을 때의 중화열은 NaOH와 CH3COOH 반응에서의 중화열보다 큰 값이 도출되어야 한다. 또한 산과 염기 모두 0.1 mol로 동일하기에 pH는 7이어야 한다.
2. 서론
-실험 목적: 이 실험은 강염기인 수산화나트륨 0.1몰을 여러 가지 산으로 중화시킬 때 발생되는 열량을 측정하여 반응열에 대한 이해와 열량 측정의 개념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론
① 산과 염기가 서로 반응할 때 발생되는 반응열을 중화열이라고 부른다. 25 ℃에서 묽은 용액 상태의 강염기 1몰이 강산 1몰과 반응하면, 55,835 J의 열이 산 또는 염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생된다.
참고자료
· Raymond chang, Chemistry, McGraw-Hill Education, 2015, (p246, p670, p696, p722)
· Peter atkins, Physical chemist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p42
· ’노르말 농도’, 사이언스올, https://www.scienceall.com/%EB%85%B8%EB%A5%B4%EB%A7%90-%EB%86%8D%EB%8F%84normality-%E6%BF%83%E5%BA%A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