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금속의 활동도 서열 결정
- 최초 등록일
- 2021.10.29
- 최종 저작일
- 2021.04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날짜
3. 실험목적
4. 실험이론
5. 기구 및 시약
6. 실험방법
7. 참고문헌
8. 실험결과
9. 관찰 및 결과분석
본문내용
1. 실험제목
금속의 활동도 서열 결정
2. 실험 날짜 : 2021/04/06
3. 실험목적
금속과 금속이온 수용액과의 반응을 통해서 산화제와 환원제의 상대적인 세기를 정해본다.
4. 실험이론
- 산화, 환원의 정의와 반응의 예 조사
산화란 산화수의 증가 또는 전자를 잃음의 경우를 말하며 환원은 산화수의 감소 또는 전자를 얻음을 말한다. 한 원소가 산화하면 다른 원소는 환원되기 때문에 항상 동반되어 발생하는데, 이것을 ‘산화 환원의 동시성’이라고 한다.
산화-환원 반응의 예를 들어보자.
에서, 수소는 산소와 만나 산화가 되고, 산소는 환원된다.
전자의 이동(산화수)으로도 볼 수 있는데, 수소는 산화수가 0에서 1로 증가했으므로 산화되었고, 산소는 0에서 -2로 감소하였으므로 환원된다고 할 수 있다.
- 산화제와 환원제 조사
다른 물질을 산화시켜 자신이 환원되는 물질을 산화제, 다른 물질을 환원시켜 자신이 전자를 잃고 자신이 산화되는 물질을 환원제라고 한다.
산화제의 예로는 브롬산 나트륨, 과산화수소, 산화망가니즈, 과망가니즈산 칼륨 등이 있고, 환원제의 예로는 이산화황, 탄화수소, 황산 등이 있다.
- 금속의 활동도 서열(금속의 반응성) 조사
금속의 반응성이란 얼마나 전자를 잘 잃고 산화되느냐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가장 반응성이 큰 K의 경우 전자를 매우 잘 잃는다. 따라서 K와 다른 금속이온이 만난다면 K는 바로 전자를 잃고 이온으로 존재하려고 하고 다른 금속이온은 그 전자를 받아 금속으로 돌아가려고 한다. 전자를 잃고 이온으로 존재하려는 것을 산화한다고 하고 전자를 받아 금속으로 돌아가려고 하는 것을 환원이라고 하는데, 이 반응성은 상대적인 것이어서 K와 Na이온이 만나면 K가 이온이 되고 Na는 금속이 되지만 Na와 Mg이온이 만나면 Na가 이온이 되고 Mg가 금속이 되려고 한다.
참고 자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08903&cid=40942&categoryId=32251
https://ko.wikipedia.org/wiki/%EA%B8%88%EC%86%8D%EC%9D%98_%EB%B0%98%EC%9D
%91%EC%84%B1
https://msds.kosh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