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교육과정
- 최초 등록일
- 2021.10.15
- 최종 저작일
- 2020.11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이해
2. 특수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Ⅲ. 국내 연구 동향
1.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변천
2. 일반 교육과정으로의 접근
3. 2000년 이후 국내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변화
4. 특수교육 교과서에 대한 이해
Ⅳ. 결론 및 제언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육과정이란 일정한 교육기관에서 교육의 모든 과정을 마칠 때까지 요구되는 교육목표, 교육내용, 그 내용을 학습하기에 필요한 연한과 연한 내에서 학습 시간 배당을 포함한 교육의 전체 계획을 말한다. 바꾸어 말하면 학교의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택한 문화 또는 생활 경험을 교육적인 관점에서 편성하고 그들 학습활동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행해질 것인가를 종합적으로 묶은 교육의 전체 계획이라 할 수 있다(교육학용어사전, 1995). 교사와 학교는 이러한 교육과정의 기반 위에서 학생을 지도하고 교육하며 교육과정의 목표 달성을 지향한다. 이는 일반교육에서뿐만 아니라 특수교육에서도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교육과정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그 내용이 증명되고 있고 이것은 전 세계의 수많은 국가와 학자들이 더 나은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실천, 평가 등을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나 특수교육에 있어서 교육과정이란 특정 교과의 내용을 지도하기 위한 기틀의 차원을 넘어 특수교육을 규명하는 하나의 핵심요소로 자리하고 있다. 단순히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계획 등의 나열이 아닌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해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제공되는 특수교육만의 총체이다. 시대적,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다양해지는 교육 수요자의 요구는 교육과정의 변화를 촉진하며 더 전문화되고 세분되어 개별적이면서도 종합적인 교육과정의 개발을 원하고 있다.
특수교육 또한 이러한 흐름에 부합하여 단순히 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교정과 단순 반복 학습을 뛰어넘어 개별화 교육계획, 교육과정 수정 등의 용어로 대변되는 다양한 교육과정의 변화를 실현하고 있다. 교사에게는 고도화된 전문성이 요구되며 국가와 지자체 및 학교는 장애 학생의 특성과 요구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참고 자료
박정식, 진영은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연구 동향 및 과제 특수아동교육연구, 17(4), 95-123
국립특수교육원 (2010). 2009 개정 교육고정에 따른 특수학교 교육과정(총론) 개정연구.
안상현 (2019).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성취기준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승연 (2019).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교사의 지원요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유훈 (2000).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편성·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특수교육교육과정 연구 제1집, 1, 3-29
신서영 (2020)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에 대한 특수교사의 사용자 평가 및 환류 체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주영, 신현기 (2000).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정신지체 학교 국어과 교육의 방향성 탐색. 단국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4(11), 1-27
강종구 외 (2020). 특수교육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3(3), 1-30
국립특수교육원 (201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적합성 제고 방안.
류문화 (2001). 부특수학교 교육과정 내용 탐색과 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점과 활용 방안. 특수교육교육과정연구 제2집, 123-137
이유훈 외 (2017). 특수교육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