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원의 문화권에 따른 동아시아의 천하관
- 최초 등록일
- 2021.10.12
- 최종 저작일
- 2021.04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중원의 문화권에 따른 동아시아의 천하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다원적 천하관
2. 중원의 천하관
2-1. 중원의 문화권
3. 고려의 천하관
3-1. 고려의 문화권
4. 천하관과 문화권
4-1. 고려 천하관의 변형과 전파
Ⅲ. 결론
본문내용
동아시아 사회는 고대의 중원에서부터 천하(天下)를 인식하기 시작했다. 중원의 고대왕조 殷과 周에서부터 비롯되었다. 이 두나라는 천손과 천명사상을 바탕으로 정권의 정통성과 정당성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사상아래서 천하관이 형성되었고 이 천하는 국가를 넘어서는 존재로써 존재하였다. 천하에 대한 인식은 고서 『대학』에 나타나있다. 『대학』의 ‘修身齊家治國平天下’는 그들이 바라본 천하를 보여준다. 그들은 천하를 국가보다 더 넓은 존재로 바라보았다. 그들은 개인-가족-국가-천하로 넓혀지는 세계관을 구축했고, 그들의 왕위는 그 하늘에서 찾았다.
고대 중원은 이에 그치지 않고 천하관을 더욱 발전시켰다. 그들은 천자(天子)를 자칭하며 하늘에게서 군신관계를 만들었고 천자로 하여금 다른 국가 또는 민족을 신하로 두려고 하였다. 그들은 다른 천하를 인정하지 않는 배타적 천하관으로 발전하여 세계의 천하는 하나이며 그 천하의 주인은 천자로 인식하고 주변국을 대하기 시작하였다.
중원에 이어 성장한 타 민족은 중원의 천하(天下)의 인식을 바탕으로 각자의 천하관을 세우기 시작하였다. 고구려는 태왕을 중심으로하는 천하관을 형성하였다. 태왕은 천명으로부터 정당성을 얻는 천자와는 다르게 태생부터 절대적 권력을 갖는다. 따라서 고구려는 천하의 주인은 태왕이며, 태왕은 태어날 때부터 절대적이라는 것이다. 백제에는 五方制가 있었는데, 여기서 말하는 오방은 동,서,남,북,중을 의미하면서 동시에 그 자체가 백제가 관할하는 온 세상을 말했다. 백제는 각각의 중심지에 方城을 쌓고 方領을 두어 5방의 예하에 10여 개의 郡을 영속시켰다. 더하여 신라는 진흥왕순수비에 ‘四方君主’라는 표현이 나와있으며 신라의 왕은 4개의 방위를 모두 통치하는 군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본다. 이렇게 형성된 삼국의 천하관은 이어 뒤의 나라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본은 5세기 후반 고분 출토 철검에 ‘治天下’라는 용어가 확인되었다. 그에 따라 일본도 나름 천하관을 생성하고 있었음을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사료
高麗史
高麗史.樂止.風入松
단행본
김호동.『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 돌베개, 2010
신채식, 『동양사개론』, 삼영사, 2006.09.10.
시노하라 히로카타(篠原啓方). "고구려의 천(天) 그리고 천하관." 내일을 여는 역사. 2011
국내 학술 논문
정진아. "일본 고대국가의 蕃관념의 특수성 - 천하관의 특징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고대학 16.- (2007):
김호동 ( Kim Hodong ). "울루스인가 칸국인가 - 몽골제국의 카안과 칸 칭호의 분석을 중심으로 -." 中央아시아硏究 21.2 (2016):
盧明鎬(Ro Myoung-ho). "高麗時代의 多元的 天下觀과 海東天子." 한국사연구 105.- (1999):
김보광. "12세기 초 송의 책봉 제의와 고려의 대응." 동국사학 60.- (2016):
李熙眞(이희진). "고구려의 천하관과 중국관계에 대한 재해석." 新羅史學報 0.30 (2014):
전영준(Yong-joon Jeon). "11~12세기 전후 麗-宋 양국의 문화인식과 『高麗圖經』." 다문화콘텐츠 연구 2011
임태홍. "최한기와 니시 아마네의 ‘국가’ 인식 비교 —국가의 목적과 중국 및 천하관을 중심으로 東洋哲學硏究 98.- (2019):
기타 자료
허인욱. 한국중세사. 고려의 천하관. 2021 – 5주차 강의자료
일본에 전해 준 우리 문화(http://contents.nahf.or.kr/iskjViewer/item.do) 고려시 대의 교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