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목표
- 이번 실험에서는 화학적 원리에 기반을 둔 세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표면에서 잠재지문의 감식을 시도해 볼 것이다.
2. 이론
[지문(fingerprint)]
각 개인의 특성으로, 어떠한 두 사람도 완벽하게 동일한 지문을 가지고 있지 않고, 일생동안 변하지 않는다. 지문은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특징적인 융선(ridge) 패턴을 가지고 있다.
모든 사람이 각각 다른 모양을 가지기 때문에 개인 식별, 범죄 수사의 단서, 인장 대용 등에 이용된다.
지문의 융선 패턴은 크게 다음과 같은 세가지 기본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융선: 지문을 나타내는 하나의 지문 곡선. 땀샘의 출구(땀구멍) 부분이 주위보다 융기하고, 또한 이것이 서로 연락하여 밭고랑 모양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말한다.
1)궁상문(arches): 지문의 한쪽 편에서 시작하여 높게 솟아오른 후 반대편으로 빠져나가는 선들, 활 또는 파도 모양
2)제상문(loops): 지문의 같은 편으로 들어갔다 나오는 선들, 말발굽 모양
3)와상문(whorls): 지문의 어느 편으로도 빠져나오지 않는 원형의 선들, 소용돌이 모양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