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품사의 분류와 통용 (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품사의 개념과 품사통용
Ⅱ. 품사통용의 15가지 유형
Ⅲ. 정리
본문내용
Ⅰ. 품사의 개념과 품사통용
단어를 그 문법적 속성에 따라 범주화한 갈래들을 ‘품사’라 칭한다. 즉, 단어를 형태와 기능, 그리고 의미의 세 가지 기준으로 나눈 것을 품사라 하는 것이다. 한편, 품사의 분류에 따라 한 단어는 일반적으로 한 품사에 귀속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그러나 일부 단어들은 두 가지 이상의 품사에 귀속되기도 하는데, 이를 ‘품사통용’이라 일컫는다. 본문에서는 품사통용의 유형과 그 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Ⅱ. 품사통용의 15가지 유형
앞 장에서 다룬 품사통용의 분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아래와 같이 열다섯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중 략>
위에서 제시한 열다섯 가지 유형은 한 단어가 두 개의 다른 품사로 쓰이는 것과, 세 개 이상의 다른 품사로 쓰이는 것으로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① - ⑪는 전자의 예이고, ⑫ - ⑮는 후자의 예에 해당한다.
먼저, ⓵ 유형인 명사와 대명사의 통용의 예 몇 가지를 통해 명사와 대명사의 통용을 좀 더 세분화하면 아래와 같다.
ㄱ . 주기능이 명사, 부기능이 대명사로 쓰이는 것
효자, 사형, 소녀, 소인 등
ㄴ . 주기능이 대명사, 부기능이 명사로 쓰이는 것
나
ㄷ . 명사의 하위 부류인 의존명사가 대명사로 통용되는 것
1) 명사, 의존명사, 대명사 품사통용
씨
2) 의존명사와 대명사의 품사통용
거, 공, 군, 옹
위의 ㄱ과 같이 주기능이 명사로 쓰이고 부기능이 대명사로 쓰이는 효자, 사형, 소녀, 소인 등은 아래와 같이 명사와 대명사로 품사통용이 가능하다.
(1) 효자
- 그 아이는 효자였어.(명사)
- 효자는 어머니, 영희를 섬기지 못해서…
(제사지낼 때, 제주(祭主) 본인을 일컫는 일인칭 대명사)
(2) 사형
- 사형을 선고한다.(명사)
- 사형이 도와줄게. (형이 아우를 상대하여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참고 자료
손성락, (2012), 품사 통용의 유형 및 사전 기술 - “표준국어대사전”의 사전기술을 중심으로, 나랏말쌈, 27, 82-112.
이정택, (2012), 품사분류와 “품사의 통용”, 인문논총, 24, 57-69.
한국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