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여성실습 질병조사 요실금
- 최초 등록일
- 2021.10.10
- 최종 저작일
- 2018.07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간호학과 여성실습 질병조사 요실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원인
2. 증상
3. 종류
4. 치료
5. 간호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병태생리
요실금은 효과적인 방광기능, 적절한 골반저근육, 뇌의 신경 조절, 그리고 수의적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신경연결의 통합 등 여러 가지 요인과 관련이 있다. 방광목과 근위요도는 괄약근으로 작용한다. 배뇨 시에 괄약근이 이완하여 방광을 비운다. 배뇨조절을 위해서는 하부요로의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이 통합적으로 기능해야 한다. 요실금은 약해진 괄약근 때문에 방광근육이 과도하게 활성화되거나, 방광근육이 너무 약해서 적절히 수축하지 못하거나, 혹은 요로계로 가는 신경계의 신호가 차단되어서 발생할 수 있다. 에스트로겐은 방광 괄약근의 긴장성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에스트로겐 수치의 저하는 여성 요실금 방생의 주요 원인이다. 폐경기의 여성은 에스트로겐 수치가 떨어지기 시작하고 비뇨생식기의 변화가 일어나면서 요실금이 문제가 될 수 있다.
2. 원인
방광, 요도, 항문올림근 중 어느 한가지라도 기능에 문제가 생길 경우, 요실금이 발생한다. 요실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 알코올, 탄산수, 카페인 음료를 통한 수분 섭취
• 변비 : 골반 장기의 위치를 바꾸고 방광에 압력을 가한다.
• ‘예방적’으로 소변 보는 습관 : 방광용적이 감소하게 된다.
• 폐경과 에스트로겐 감소
• 뇌졸중, 다발성경화증,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
• 흡연 : 니코틴은 배뇨근의 수축을 증가시킨다.
• 고령 : 나이를 먹음에 따른 해부학적 변화는 골반의 지지를 약화시킨다.
• 임신과 출산 : 출산 중 골반구조에 손상
• 비만 : 복압증가
참고 자료
김혜원 외(2014). 여성건강간호학 Ⅰ. 서울: 현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16). 여성건강간호학 Ⅰ. 파주: 수문사
국민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