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증상 및 징후
4. 진단검사
5. 합병증
6. 치료 및 간호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 심장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중의 하나
① ST분절 상승 심근경색: 혈전으로 인한 관상동맥의 완전한 폐색으로 발생
②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 심근경색과 관상동맥의 부분 폐색 등으로 발생
2. 원인 및 병태생리
1) 원인
① 죽상판 파열과 혈전 형성
: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죽상경화증(동맥경화증)이며,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은 죽상판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심근의 괴사가 일어남
② 기타
: 관상동맥의 색전증이나 손상, 혈관염 또는 수술 후 쇼크, 심한 탈수증, 저혈압 등으로 관상동맥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될 때도 발생
3. 증상 및 징후
-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1/3은 발병 1~4주 전, 2/3은 1주 이내에 협심통 경험
- 환자의 50%에서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진행 모르고 지내다가 갑자기 발생
① 흉통
- 강도 심하고 30분 이상 지속
- 가슴이 무겁게 짓눌리고 격렬하고 쥐어짜는 듯한, 심한 분쇄통이 휴식이나 니트로글리세린으로도 완화되지 않음
- 활동 중이나 휴식 시, 수면 중에도 일어날 수 있으며 흔히 이른 아침 시간에 발생
② 호흡곤란
- 괴사심근의 수축력 저하로 인한 심박출량의 감소로 저산소증, 소변량이 줄어들고 폐울혈로 진행되면서 환자는 호흡곤란 호소
- 호흡곤란의 정도는 폐울혈 상태에 따라 달라짐
③ 불안
- 불안, 빈맥, 차고 축축한 피부 등의 교감신경 자극 증상 있을 수 있음
④ 오심과 구토
- 심한 통증으로 구개반사 자극되어 오심과 구토, 서맥, 저혈압 나타날 수 있음
⑤ 발열과 백혈구 증가
- 발병 24시간 내 38℃ 정도의 미열 나타나서 1주 정도 지속
- 체온상승은 경색된 심근세포의 사멸에 대한 생리적 염증과정으로 오는 전신반응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