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노인간호학실습 뇌종양 간호과정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Ⅱ. 문헌고찰
1. 정의 (Definition) 1
2. 원인 (Etiology) 및 병태 생리 (Pathophysiology) 1
3. 증상 (Symptom) 3
4. 진단적 검사 (Diagnostic measure) 5
5. 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 5
Ⅲ. 간호사례
1. 간호력 (Nursing history taking) 9
2. 신체검진 (Physical examination) 10
3.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 자료 12
4. Medication 13
5. 기타치료 현황/계획 14
6. 간호과정 15
Ⅳ. 참고문헌 18
본문내용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뇌종양이라는 진단은 대상자와 가족에게 두려움과 불확실성이라는 느낌을 준다. 뇌종양은 대부분 10세 이하 소아와 30~50세 사이의 성인에서 흔히 발생한다. 신경교종은 남성이 40% 발생률이 더 높으며, 수막종은 여성이 80% 더 높다. 흔히 나타나는 종양은 천막상종양이다. 중추신경계에 발생한 뇌종양이 다른 곳으로 전이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중추신경계의 기능을 손상하거나 중추신경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두 개내압을 상승시킨다. 악성뇌종양은 모든 암의 1%, 사망과 과녈ㄴ된 암의 2%를 차지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연구를 통해 적절한 간호가 필요하다.
Ⅱ. 문헌고찰
1. 정의 (Definition)
뇌종양이란 뇌조직이나 뇌를 싸고 있는 막에서 발생된 종양과 머리뼈나 주변 구조물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서 뇌조직이나 뇌막으로 전이된 종양을 말합니다. 또한, 뇌종양은 양성과 악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양성 뇌종양은 성장 속도가 느리고 주위 조직과의 경계가 뚜렷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악성 뇌종양은 뇌암이라고도 말하며, 성장 속도가 빠르고 주위 조직으로의 침투 능력이 강하여 주변의 정상 뇌조직을 빠른 속도로 파괴합니다.
2. 원인 (Etiology) 및 병태 생리 (Pathophysiology)
중추신경계 종양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다른 종양처럼 뇌종양도 유전자의 비정상적인 변화가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섬유종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 중추신경종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뇌종양을 일으키는 유전 돌연변이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최근에는 휴대폰 사용이나 환경적 요인에서 뇌종양의 원인을 찾고자 연구하고 있으며, 고농도의 자기장에 노출되는 소아에게 뇌종양의 발생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흡연 같은 환경적 요인이 폐암을 일으키고 폐암은 뇌로 전이되기도 하지만 흡연과 뇌종양의 일차적인 연결고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참고자료
· 유해영(2017). 증보판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현문사.
· 조경숙 외(2016). 여섯째 판 성인간호학 하권. 서울. 현문사
· 성미혜 외(2015).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경기:파주. 수문사
· 강현숙 외 (2014). 근거기반 기본간호학(하). 경기:파주. 수문사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16).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관악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대한종양학회. 뇌종양. 2019.08.28. from.
· http://www.braintumor.or.kr/public/content/?sid=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