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험 배경 지식
1) 골재의 정의
2) 골재의 역할
3) 골재의 밀도
4) 골재의 함수량에 의한 분류
5) 골재의 흡수량
2. 시험 1. 굵은 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
1) 시험목적
2) 시험규격
3) 시험기구 및 장치
4) 시험방법
5) 실험 과정과 측정값
6) 실험 결과
7) 주의 및 참고사항
8) 시험 결과표
3. 시험 2.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
1) 시험목적
2) 시험규격
3) 시험기구 및 장치
4) 시험방법
5) 실험 과정과 측정값
6) 실험결과
7) 주의 및 참고사항
8) 시험 결과표
4. 결론
5. 고찰
본문내용
① 골재의 정의
- 한국공업규격(KS규격)에서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만들기 위해 시멘트와 물에 혼합되는 불활성 재료이며 모래, 자갈, 부순돌 그 밖에 비슷한 재료를 통칭한다. 견고하고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다.
- 입자 크기에 따라 잔골재(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 의하면 체규격 5mm의 체에서 질량비로 85%이상 통과하는 골재), 굵은골재(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 의하면 체규격 5mm의 체에서 질량비로 85%이상 남는 골재)으로 나뉜다.
② 골재의 역할
- 콘크리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체적의 약 70-80%를 차지한다.
- W/C비가 같고, 강도가 같을 때 경제적으로 시멘트보다 골재 비율이 높을수록 유리하다.
- 모르타르와 콘크리트에서 양을 늘려주는 증량재 혹은 공간을 메우는 충전재의 역할을 한다.
-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내부의 공간 사이에 강도가 강하고 화학적으로 안정된 골재가 첨가되면 균열을 저감 할 수 있어 안정재의 역할을 한다.
- 경량골재콘크리트 및 고강도 콘크리트에서는 골재의 강도가 중요하게 작용하므로 보강재의 역할을 한다.
③ 골재의 밀도
- 골재의 밀도에는 진밀도, 겉보기 밀도, 절대건조상태, 표면건조포화상태의 밀도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골재의 밀도는 표면건조상태의 밀도를 말한다. 골재의 밀도는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실적률, 공극률 등의 계산에 사용되고 경도, 강도, 내구성 등의 정도를 알 수 있다.
- 골재의 밀도는 암석의 성질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KS 규격에 의하면 잔골재는 2.50-2.65 굵은 골재는 2.5-2.70의 값이 표준이며 일반적인 콘크리트용 골재의 밀도는 2.60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 밀도에 따른 골재의 성질 : 큰 밀도(공극률이 적고 흡수율이 적어 강도가 크고 동결에 의한 손실이 적으며 내구성이 크다), 작은 밀도(밀도가 2.50 이하의 것은 풍화된 골재로서 성질이 나쁘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