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학 임신오조증 간호과정, 문헌고찰(체액부족, 영양불균형)
- 최초 등록일
- 2021.09.16
- 최종 저작일
- 2019.02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여성간호학 임신오조증 간호과정, 문헌고찰(체액부족, 영양불균형)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임상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및 간호
Ⅱ. 사례연구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정의
임신오조증은 경미한 정도에서부터 중정도 강도의 메스꺼움과 구토는 임산부의 66~90% 사이에서 발생하는 임신 초기 동안의 일반적인 증상이다. 이러한 증상은 일반적으로 5~12주 사이에 일어나고, 보통 3개월 또는 3개월 이상 지나서 가라앉는다.
임신오조증은 비교적 흔하지 않고, 전체 임산부의 약 0.5~2%에서 나타나며, 오심과 구토는 신체수분 및 영양적 상태에 매우 심각한 영양을 미친다. 탈수, 전해질 불균형, 산성, 체중 감소, 케톤뇨 및 간과 신장의 손상이 과도한 오조에서 기인한다.
임신오조증으로 인해 임산부는 일시적으로 병원 생활을 해야 하고 일, 가족 , 또는 사회적 일상의 혼란에 직면하게 된다. 아이를 낳은 경험이 없는 여성, 미숙한 초기 성인기, 극심한 임신중독을 경험한 여성, 체중이 증가된 여성, 성병을 가진 임산부 또는 태아 기형 그리고 친정어머니나 여자 형제 중 임신오조증이 있었거나 본인이 이전의 임신에서 과도란 입덧을 경험한 개인적 과거력을 가진 여성에게서 좀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
2. 원인
임신오조증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hCG의 작용이라 여겨지고 있다.
과도한 입덧과 관련이 있는 다른 기전은 아마도 위장관의 전위, 뇌하수체전엽과 부신피질의 기능저하, 비정상적인 황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감염 및 정서적 요소들일 것이다.
임신오조증의 병리적 기전은 탈수로부터 시작된다. 이는 체액의 전해질 불균형과 알칼리증으로 야기된다. 구토가 지속되면 알칼리성의 장액과 산성이 감소하게 된다.
3. 임상증상
1) 구토 : 임신오조증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임신 6~12주 사이에 입덧이 있으며 심한 경우 일주일 이상 구토증이 계속될 수도 있고 혹은 임신 4주나 8주 동안에 간헐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증상은 대부분 아침에 있거나 하루 중 어느 시기라도 일어날 수 있다.
참고 자료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GGGGA0316
약학정보원 휴온스피리독신염산염주사액 Pyridoxine HCl Injection Huons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450A0396
약학정보원 삐콤헥사주사 Beecomhexa Injection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2364
약학정보원 5%포도당가엔에이케이주1(1000mL/백)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570A0304
약학정보원 맥페란주사액2mL Macperan Injection 2ml
한지은,강태정,김영주,안정자,& 우복희. (2000). 임신오조증 환자에서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동반한 Wernicke 뇌병증. EMJ (Ewha medical journal) , 23(2), 73-76.
여성건간학Ⅱ. 수문사. 28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