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경희대/기초회로실험/A+결과보고서] 14강 교류 회로 소자의 특성(인덕터 및 커패시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내용
2. 실험 이론
3. 실험 결과
4. 느낀점
5. 오차 분석
6. 예비보고서 문제 풀이
본문내용
1. 실험 내용
(1) 교류 회로 소자인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리액턴스 개념을 실험을 통하여 이해하고 이들 교류 소자를 직·병렬로 연결하였을 때 리액턴스의 변화를 이해한다.
(2) 교류 회로 소자의 리액턴스 개념과 연관하여 소자의 전류, 전압 간의 위상 특성을 각각 실험을 통하여 이해한다.
2. 실험 이론
∙인덕터란?
인덕터는 도선을 나선 모양으로 감아서 만들며, 코일이라고도 한다. 인덕터가 유도전압을 생성하는 정도를 인덕턴스(Inductance)라 한다. 인덕턴스는 로 표시하며, 단위는 헨리(H, Henry)이다.
인덕터의 특성은 대부분 커패시터와 반대이다. 인덕터에 교류전류를 흘릴 때 인덕터 양단에 발생하는 유도전압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유도성 리액턴스
인덕터가 교류신호에 대하여 나타내는 고유한 저항 특성을 유도성 리액턴스라 하며, 로 표시한다. 유도성 리액턴스도 저항의 일종이므로 단위는 []이다.
∙인덕터의 직렬연결
인덕터를 직렬로 연결할 때 전체 인덕턴스 는 저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덕턴스를 더해주면 된다. 즉, n개의 인덕터를 직렬로 연결했을 때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인덕터의 병렬연결
인덕터를 병렬로 연결할 때 전체 인덕턴스 는 각 인덕턴스 역수를 더한 다음 다시 역수를 취한 형태로 주어진다. 따라서 인덕터를 병렬로 연결할수록 는 감소한다.
∙커패시터란?
전자회로에서 전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치로, 콘덴서(Condenser) 혹은 축전기라고도 부른다. 보통 커패시터는 2개의 도체판 사이 전기가 흐르지 않는 절연체가 들어간 구조로 되어있다. 두 도체판 사이에 전압을 걸면 음극에는 (-)전하가 양극에는 (+)전하가 같은 크기로 유도되는데, 이로 인해 전기적 인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인력에 의해 전하들이 모여있게 되므로 에너지가 저장되는 것이다.
이 때 모이는 전하량은 전압에 비례하는데, 커패시터는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전자회로에서 전하를 충전하거나 방전하며 급격한 전압 상승이나 하락을 억제한다. 커패시터가 전하를 충전할 수 있는 능력을 정전용량 혹은 커패시턴스(Capacitance)라고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