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모스비 널싱스킬 요약정리 및 느낀점 [술기 번호- 30, 39, 92, 108, 72, 73, 74, 80, 84, 104]"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30. 말초산소 포화도측정
2. 39. 산소요법과 산소공급
3. 92. 통증사정과 관리
4. 108. 흉부 물리요법: 타진과 진동
5. 72. 정맥수액주입: 수액용량 계산 및 수액주입속도 조절
6. 73. 정맥수액주입: 시작
7. 74. 정맥수액주입: 종결
8. 80. 중심정맥카테터: 관리 및 드레싱 교환
9. 84. 채혈: 혈액배양검사
10. 104. 혈액제제: 투여
본문내용
[동영상. 산소포화도 측정하기]
1. 손위생을 실시하고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장한 후,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2. 이름과 생년원일로 대상자를 확인한다. (개방형으로 질문한다. 예. “성함과 생년월일을 말씀해주세요.”)
3.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기 전에 이 중재가 적절한 것인지 의사 처방이 맞는지 먼저 확인한다. (예. 비정상 호흡음, 청색증성 손톱, 입술, 점막, 피부 변화, 불안감, 호흡 곤란 같은 산소포화도의 변화를 의미하는 증상이 있는지 사정하여 산소포화도 측정이 필요한 대상자인지 확인한다.)
4. 간호사는 산소포화도 측정을 위해 대상자의 귓불, 이마, 콧등, 손가락과 같이 센서를 부착할 위치를 정한다. “혈액 속에 얼마나 많은 산소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산소포화도 측정기를 달아드릴게요.“ 전자혈압계 커프를 감고 있는 팔의 손가락은 피한다. 부어있거나 상처가 있거나 체온이 낮은 부위 역시 피한다. 손가락의 경우 아세톤, 리무버로 매니큐어나 인공손톱을 지운다.
5. 선택한 센서 부착 위치에 모세혈관 재충혈 시간을 사정한다. 3초 이상 걸린다면 다른 부위를 선택한다. 모세혈관 재충혈 시간이 3초 미만이면 그 부위에 물이 묻어 있지 않은지 확인한다.
6. 떨림이 있는 대상자는 귀에 부착하고 말초 혈관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귀나 콧등에 센서를 부착하며, 활동적이거나 비만인 대상자에게는 일회용 접착식 센서를 사용하고 라텍스 알러지가 있는 대상자에게는 접착성 일회용 센서 대신 집게형 센서를 이용한다.
7. 대상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손가락 센서로 말초산소포화도를 측정한다면 대상자에게 평소와 같이 숨을 쉬도록 교육한다.
8. 센서를 올바른 신체 부위에 부착하고 대상자에게 센서가 손가락에서 빨래집게 같이 느껴지지만 아프지 않을 것임을 설명한다.
9. 산소포화도 측정기의 전원을 켠다. 맥박 파형과 강도가 화면에 표시되고 신호음이 들리면 대상자의 요골 맥박을 사정하여 산소포화도 측정기에서 표시되는 맥박 수와 비교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