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건강간호학실습 A+] 정상분만 1기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 각 약물에 대한 자료와 진단검사 정상수치 등 다양한 자료가 들어있습니다.
- 간호과정은 간호목표 4개, 간호계획 13개, 간호중재 13개, 간호평가 3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연분만 1기 간호과정 외에 간호과정 작성이 처음이신 선생님들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는 자료입니다! 풍족하고 부족함 없는 자료이니 믿고 사셔도 됩니다 :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여성건강간호학실습 A+] 정상분만 1기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 각 약물에 대한 자료와 진단검사 정상수치 등 다양한 자료가 들어있습니다.
- 간호과정은 간호목표 4개, 간호계획 13개, 간호중재 13개, 간호평가 3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연분만 1기 간호과정 외에 간호과정 작성이 처음이신 선생님들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는 자료입니다! 풍족하고 부족함 없는 자료이니 믿고 사셔도 됩니다 : )
목차
1. 문헌고찰
1) 정상분만의 정의
2) 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
3) 분만의 전구증상
4) 분만의 단계
5) 분만간호
6) 진단검사
7) 약물
2. 간호사례
1) 자료수집
2) 사정
3) 진단검사
4)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산도 (passageway)
1) 산도는 단단한 뼈로 구성된 골반과 경관, 골반상, 질, 질구 등으로 이루어진 연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2) 골반은 골반분계선을 중심으로 가골반과 진골반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진골반은 골반 입구와 골반강, 골반 출구로 나누어져 있다.
3) 정상분만을 결정하는 주요 경선
(1) 산과적 진결합선
- 치골결합 내면 최돌출부에서 천골곶까지의 거리
- 진결합선에서 0.5cm를 뺀 길이와 같음.
- 입구의 가장 짧은 전후경선, 길이 : 10.5cm
- 선진부의 골반 내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경선
(2) 좌곡극간경선(골반강 횡경선)
- 좌골극간의 거리 (가장 짧은 횡경선)
- 9.5cm 이하일때는 제왕절개술을 시행
2. 만출물질 (passenger)
- 만출물은 산도를 통과하는 태아와 태아 부속물이다.
- 태아 : 재태기간, 크기, 태위, 선진부, 태향, 태세 및 태아의 수
- 태반 : 태반유형, 착상부위, 태반성숙 정도
1) 아두
- 아두는 주로 선진부가 된다.
- 모체 골반 통과 시 태아의 어깨와 함께 가장 큰 부위이다.
- 출산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1) 태아 두개골
- 2개의 두정골, 2개의 측두골,
1개의 전두골, 1개의 후두골로 구성된다.
- 시상봉합, 인자봉합, 관상봉합,
전두봉합으로 4개의 봉합이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