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곽안련, 「목회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8.
· 김성준, 「목사학」, 서울: 한국기독교교육개발원, 1979.
· 김재훌, 「목회학」, 서울: 세종문화사, 1979.
· 김정준, 「이스라엘 신앙과 신학」, 서울: 성문학사, 1970.
· 김하진, 「주제별 칼빈주의」, 서울: 한국문서선교회, 1988.
· 문희석, 「이스라엘의 역사」,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75.
· 민경배, 「목회신학원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8.
· 박근원, 「오늘의 목사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8.
· 백동섭, 「새 목회학」, 서울: 성광문화사, 1981.
· 은준관, 「교육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6.
· 이종성, 「평신도와 교회」,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부, 1981.
· 임택진, 「목회자가 쓴 목회학」, 서울: 대한예수고장로회 총회교육부, 1974.
· 조동진, 「교회행정학」, 서울: 크리스천헤럴드사, 1973.
· 한철하, 「고대 기독교 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8.
· 홍의표, 「한국교회의 성장과 목회자의 역할」, 서울: 장로회 신학대학원, 1980.
· 황의영, 「목회학」, 서울: 성광문화사, 1980.
·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총회,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헌법」, 서울: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총회, 1993.
· 신학교 재편찬 위원회 편, 「간추린 목회 상담학」, 서울: 세종문화사, 1978.
· 신학교 재편찬 위원회 편, 「간추린 목회학」, 서울: 세종문화사, 1983.
· Colin Williams, 「교회」, 이계준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3.
· Donald McGavran, 「교회행정학」, 고용원 역, 서울: 보이스사, 1974.
· Eduard Thruneysen, 「목회학원론」, 박근원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79.
· Franklin M. Zigler, 「목회학 개론」, 이정희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77.
· H. Kraemer, 「평신도 신학」, 유동식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6.
· Hans Küng, 「교회란 무엇인가?」, 이홍군 역, 서울: 분도출판사, 1978.
· Howard J. Clinebell, 「목회와 지역사회」, 오성춘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5.
· Jay E. Adams, 「목회 상담학」, 정정숙 역, 서울: 총신대학 출판부, 1993.
· Jean Calvin, 「기독교 강요」 4권, 김문제 역, 서울: 세종문화사, 1981.
· Jean Calvin, 「칼빈의 이사야 강해 설교」, 김동현 역, 서울: 솔로몬, 1993.
· John Patterson, 「예언자 연구」, 이호운 역, 서울: 한국기독교문화사, 1977.
· Karl Rahner, “사제직”, 「전망」, 창간호, 1968,
· Leroy Eims, 「제자 삼는 사역의 기술」, 이경준 역, 서울: 네비케이토출판사, 1982.
· Martyn Lloyd-Jones, 「목사와 설교」, 서문강 역, 서울: 예수교문서선교회, 1977.
· NiCho-Las L. A. Lash, “말씀의 봉사자들”, 「전망」, 제5호, 1969.
· Paul Mikat, “성직자와 평신도의 협력”, 「전망」 제6호. 1969.
· Peter Lewis, 「청교도 목회와 설교」, 서창원 역, 서울: 청교도신앙사, 1991.
· Richard Baxter, 「참 목자상」, 박형용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9.
· Robert P. Sweeney, “사제란 무엇인가?”, 「전망」, 제5호, 1969.
· Watchman Nee, 「정상적인 그리스도의 사역자」, 권혁봉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71.
· 곽선희, “복음선교와 목회자의 역할”, 「복된 말씀」 제19권, 1972.
· 김용옥, “목자상에 대한 성서적 이해” 「현대와 신학」, 서울: 연세대학교 신학대학원 출판부, 1966.
· 김은곤, “평신도 성서 교육 방법론”, 「월간목회」 제102호, 서울: 월간목회사, 1985.
· 김종열, “교회공동체의 사명과 역할”, 「복된 말씀」 제20권, 1973.
· 문희석, “구약성서의 목회자상”, 「복된 말씀」 제20권, 1973.
· 박근원, “다원화 교역경”, 「신학사상5」,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74.
· 방관덕, “설교의 유형에 관한 연구와 비판”, 「월간목회」 제131호, 서울: 월간목회사, 1987.
· 백치인, “교회정치와 신앙윤리”, 「복된 말씀」 제11권, 1964.
· 서정은, “선교와 민심”, 「교회와 신학」 제19권, 서울: 장로회신학대학, 1987.
· 유의용,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교회”, 「월간목회」 제111호, 서울: 월간목회사, 1986.
· 이기문, “가장 위대한 교회하)”, 「월간목회」 제105호, 서울: 월간목회사, 1985.
· 이상은, “목사의 새 자세”, 「복된 말씀」 제12권, 1965.
· 이종성, “목사상의 역사적 발전에 대한 개념”, 「현대와 신학」 제3호, 서울:연세대학교 신학대학원 출판부, 1966.
· 이종성, “평신도와 성직자”, 「교회와 신학」 제10집, 서울: 장로회신학대학, 1979.
· 정장복, “설교의 역사에 대한 일반적 고찰2)”, 「교회와 신학」 제19집, 서울: 장로회신학대학, 1987.
· 정하은, “사회 변화 속에서의 새 목자상”, 「현대와 신학」 제3집, 서울: 연세대학교 신학대학원 출판부, 1966.
· 그리스도교 대사전 편찬위원회, 「그리스도교 대사전」,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0.
· 박윤선, 「성경주석 바울서신」, 서울: 영음사, 1976.
· 성서백과편찬위원회, 「성서백과대사전」 Vol.9.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