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에 대한 고찰
골관절염은 일명 퇴행성 관절질환 (degenerative joint disease)라고 하며, 관절염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고 국소적인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만성질환이다. 관절이 침범받으면 밝고 투명한 정상 연골이 불투명해지고 노랗게 된다. 시간이 지나며 연골이 갈라지고 골이 생기며 침식되어 연골이 완전히 벗겨지면 그 아래에 있는 뼈가 관절로 완전히 노출된다. 이 곳에 신생골이 형성되면서 골질의 증식과 비후가 일어난다. 결국 아탈구와 관절기형이 생겨 부종, 통증, 근경련과 염증 등이 생긴다.
원발성골관절염의 원인은 노화로 인한 현상으로 여겨져 왔지만 최근에는 통합성의 문제, 유전적 소인, 국소적 감염, 기계적 힘, 세포와 생화학적 과정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한 것으로 본다. 중년 이후 나이가 많을수록 발생 빈도가 높아지며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하고 호르몬 대치요법을 하지 않는 폐경기 여성 등이 이환되기 쉽다.
▶수술 전 간호
환자 확인 및 동의서 확인, 수술부위 표지(Rt.Knee), 수술정보확인, 보조기구·장신구·화장 제거하였으며 감염력 유무(무) 및 알레르기 유무(유-반창고/테이프에 알레르기 있음) 확인함. 혈액 준비하였으며 (PRC 2p - OP prep) 수술부위 Betadine bathing하였다.
<중 략>
5) 간호진단과 간호과정
간호진단명 : 외과적 절개와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진단 또는 간호문제
외과적 절개와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의 자료, 진단검사 결과
- 11/20 대상자 TKRA(Total Knee Replacement Therapy) 받음.
- 11/20 대상자 TKRA 중 ESU(electronic surgery unit)로 Posterior Lt.calf 부위 cut함
간호수행 및 근거
진단적 지시
1. 통증의 양상, 부위, 강도를 사정한다.
- 통증의 양상과 부위, 강도를 통해 적절한 간호를 적용할 수 있다.
참고자료
· 김경모·황경균, 「자가 조절 통증 치료법」, 대한치과마취학회지 2005; 5 page 95~100
· 홍은영, 「성인간호학 수술실 실습지침서」, 현문사, 2006
· 병원간호사회, 「통증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
· 수술 과정 이미지 출처
· https://youtu.be/tKji04oFGdU
· https://korean.alibaba.com/product-detail/non-absorbable-nylon-surgical-suture-polyamide-suture-1940469440.html
· https://korean.alibaba.com/product-detail/all-kinds-of-ethicon-suture-vicryl-suture-60698393289.html
· 사용 기구 이미지 출처
· https://www.stryker.com/us/en/surgical/products/system-8-cordless-driver-and-sabo.html
· https://m.indiamart.com/proddetail.php?i=10534452033
· https://www.arthrex.com/imaging-resection/battery-powered-instrument
· 조경숙 외 9인,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6.1 chapter 2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