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학력에 따른 허위 합의 효과의 정도 차이
- 최초 등록일
- 2021.08.09
- 최종 저작일
- 2015.06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최종 학력에 따른 허위 합의 효과의 정도 차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초록
Ⅱ. 중심 단어
Ⅲ. 서론
Ⅳ. 실험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선정
2. 실험방법
Ⅴ. 예상결과
본문내용
초록
기존에 시행된 사회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의 지식과 경험에 근거하여 상황을 판단하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선택이 실제보다 더 보편적일 것이라고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허위 합의 현상이라고 부르는데, 허위 합의 현상의 발생 이유로는 여러 가지 이유와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이 현상이 최종 학력 차이에 따라 현상의 발생 정도에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검증하려고 한다. 실험에서는 최종 학력에 따라 분리된 3개의 집단에 속한 피험자들이 각각 같은 상식 시험을 본 다음 같은 집단에 속하는 다른 피험자들의 정답률을 추정한다. 이 추정 값과 피험자의 정답률, 그리고 다른 피험자들의 실제 정답률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실험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현상의 발생 추이를 파악할 수 있다.
중심 단어 : 학력, 상식, 소속감, 자존감, 허위 합의 효과
서론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는 인간이 태초부터 추구해오던 지식이다. 가장 유명한 철학자 중 하나인 소크라테스는 ‘너 자신을 알라.’ 라는 유명한 말을 통해 자신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우리의 선조들은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다.’ 라는 격언을 남기며 자신에 대한 앎으로부터 세상에 대한 이해를 시작할 것을 추구했다. 이에 대응해 수많은 학문들에서 인간의 본질적 모습을 탐구하기 시작했으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간에 대한 완벽한 이해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인간에 대한 탐구는 현대에까지도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현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간에 대한 탐구를 하는 가장 대표적인 학문은 심리학으로, 그 중에서도 성격심리학과 사회심리학이 인간의 본연적 모습을 가장 중점적으로 탐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중에서 사회심리학이 보고자 하는 것은 상황의 힘에 대한 인간의 취약성으로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요소에는 인간의 자유의지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상황적 요인과 변수들이 개입한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참고 자료
Newton, L. (1990). Overconfidence in the communication of intent: Heard and unheard melod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Stanford, CA.
Ross, L., & Ward, A. (1996). Naive realism in everyday life: Implications for social conflict and misunderstanding. In E. Reed, E. Turiel, & T. Brown (Eds.), Social cognition: The Ontario Symposium (pp. 305.321). Hillsdale, NJ: Erlbaum.
Kruger, J., Parker, J., Ng, Z., & Epley, N. (in press). Egocentrism over e-mail: Can we communicate as well as we think?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Loewenstein, G., Moore, D., & Weber, R. (2006). Misperceiving the value of information in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others. Experimental Economics, 9(3), 281–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