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역사에 대한 일제 식민사관의 형성과 그 극복의 과정에서 랑케 실증사학이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 설명하세요.
- 최초 등록일
- 2021.08.07
- 최종 저작일
- 2021.06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한국역사에 대한 일제 식민사관의 형성과 그 극복의 과정에서 랑케 실증사학이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 설명하세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역사에 대한 일제 식민사관의 형성과 그 극복의 과정에서 랑케 실증사학이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 설명하세요.
2. 에드워드 카는 역사를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정의했습니다. 그 이유를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쟁점 가운데 예를 찾아 설명하세요.
3. 맑스주의 사학이 한국 역사의 해석에 끼친 영향을 순기능과 역기능으로 구별해 설명하세요.
4. 마찬가지로 한국 민족주의 사학의 영향을 순기능과 역기능으로 구별해 설명하세요.
5. ‘거대한 역사’에 대한 일상사, 미시사의 문제의식과 연구방법론에 대해 기술하세요. 한국사의 주제에서 구체적인 예를 찾아 설명하세요.
본문내용
1. 한국역사에 대한 일제 식민사관의 형성과 그 극복의 과정에서 랑케 실증사학이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 설명하세요.
1) 일제 식민사관의 형성
일제 식민사관은 1922년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사편찬사업’을 시작하면서 형성되었다. 당시 집필을 담당한 이나바는 단군 관련 전통을 일본의 식민지배를 저해하는 요소로 보았다. 그래서 그는 조선 역사의 유구성과 전통의 상징인 단군관련 기록을 강하게 부정하였으며, 화폐경제에 이르지 못한 경제단계, 계급 사상에서 발생한 가족주의 등을 들어 조선이 정체한 사회라 주장하였다.
일본이 갑작스럽게 식민사관을 정립하려 한 이유는 1919년에 일어난 3.1운동이 상당히 놀라웠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후 1925년 조선사편찬위원회를 총독 직할의 조선사편수회로 확대 및 개편하고 조선사 편찬사업도 국가적 사업으로 승격시켰다.
1930년대에는 청구학회에 일본인 학자들 외에도 이병도, 신석호 등의 조선인 사학자들을 포함시켰다. 당시 일본인 학자 중에서 이마니시 류는 단군조선을 고려 중기 이후의 조작으로, 진번군은 충청-전라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한국 고대사를 중국과 일본에 의한 피지배와 굴욕의 역사라 주장하였다.
2) 식민사관 극복과정과 랑케의 실증사학
독립이 된 이후, 우리나라는 랑케의 실증주의 사학을 따르게 된다. 당시 실증주의 사학은 일본 역사계가 받아들인 학문이었고, 당시 남아있던 학자의 상당수가 일본에서 공부하고 온 사람들이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일제식 실증주의 사학에 따라 민족의 특수성보다 개별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참고 자료
장우순·문치웅, 2019, 「식민사학의 형성과 그 전개」, 『단군학연구』 제40권.
임종권, 2018, 「한국 실증주의 사학의 계보: 식민사관과 상관성」, 『역사와 융합』 제2권.
고윤정, 2015, 「조선시대 궁중악인 복식 연구」, 『성균대학교 일반대학원 의상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찬승, 2011, 「식민사학과 분단사학 극복을 위한 분투」, 『역사와 현실』 제82권.
우리역사넷(http://contents.history.go.kr).
서울시립대신문(http://press.uos.ac.kr).
중앙일보(https://news.join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