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게슈탈트치료의 주요 개념과 규칙
1) 인간관
2) ‘지금’의 원칙
3) 미해결 과제(Unfinished Business)
4) 회피(avoidance)
5) 다섯 개의 층(five layers)
6) 순수 자아(authentic self)
7) 의식훈련(awareness training)
8) 루빈의 잔(Rubin's goblet)
9) 게슈탈트 치료자의 역할 (role of Gestalt therapist)
4. 게슈탈트 치료의 특성
1) 이원성
2) 현재성
3) 직접성
5. 게슈탈트 치료의 기본적 규칙
1) ‘지금‧여기의 규칙[here and now rule]’
2) ‘나와 너의 규칙[I and thou rule]’
3) ‘나의 규칙[It language and I language rule]’
4) ‘남의 이야기 금지 규칙[험담금지, no gossiping rule]’
5) ‘질문금지 규칙[asking no question rule]’
6) ‘인지의 연속’ 규칙
6. 게슈탈트 치료의 목표
본문내용
게슈탈트(Gestalt)라는 말은 ‘모양’, ‘패턴’, ‘전체 형태’, ‘배열(configuration)’ 등의 다양한 뜻을 지닌 독일어인데, 영어로 번역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영어권에서도 이 말을 그냥 사용한다.
또 게슈탈트란 사물을 볼 때 부분과 부분을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상(全體象)으로서 파악할 경우 그 전체상을 게슈탈트하고 한다[A Gestalt is a meaningful organization of elements]. 따라서 ‘통합되어(합쳐져)있는 구조’라는 의미이다. 즉 게슈탈트 이론에서는,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의 것’ 이라고 하여 전체성을 강조한다.
게슈탈트란 말은 게슈탈트 심리학 이전에 에렌펄즈(C. von Ehrenfels)에 의하여 사용되었다. 그에 의하면 어떤 곡을 구성하는 소리의 높이 모두를 바꾸어도 원래의 멜로디는 유지된다. 삼각형은 크기, 색, 위치를 바꾸어도 삼각형이라는 형은 바뀌지 않는다. 이들에게 소리의 높이나 빛의 색 등의 감각요소 이외에 멜로디나 형 등의 성질이 있는 것을 논하고 ‘게슈탈트 성질’이라고 이름 붙였다. 이는 정신분석에서 ‘무의식의 의식화’와 이드(id) 있는 곳에 에고(ego)가 있게 하라는 말에 필적하는 것이다. 게슈탈트는 하위 감각적 요소를 기초로 하여 가산 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며, 그것은 요소관에 입각한 것이다. 게슈탈트 심리학에서는 ‘게슈탈트 성질’의 존재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부분이 전체에 의해 규정되는 구조’의 존재를 명확히 했다. 게슈탈트 심리학자들에 의하면 개체는 어떤 자극에 노출이 되면 그것들을 하나하나의 부분으로 보지 않고 완결, 근접성, 유사성의 원리에 입각하여 자극을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 혹은 형태 즉, 게슈탈트로 만들어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