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조현병 환자 대상으로 한 활동요법 계획서입니다.
목차
Ⅰ. 정신간호 중재로서의 활동요법
Ⅱ. 활동요법의 종류 및 진행 시 유의사항
Ⅲ. 미술치료의 목적과 효과
Ⅳ. 활동요법 계획서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의
- 대상자들에게 오락, 음악, 작업, 그림, 무용, 문학, 원예, 심리극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여, 대상자가 자신의 에너지를 건설적인 방향으로 사용해서 치료적 효과를 가져오는 것
목적
- 대상자가 가진 심리적 에너지와 대상자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대상자의 정신적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
- 대상자의 잠재 능력 개발하는 등 대상자가 일상생활에 적응하도록 하는 것
-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기능하는 데 필요한 재활능력을 증진시켜 사회복귀를 돕는 것
효과
- 대상자의 긴장, 불안, 적개심 등 내재된 갈등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회적 위축과 정서 및 행동의 퇴행을 감소시킨다.
- 대상자는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경험하면서 대인관계기술을 향상시키고 공동체 의식을 가지게 된다.
- 대상자가 집착하고 있는 환각, 망상 등에서도 벗어나도록 한다.
- 대상자의 잠재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자존감을 증진시킨다.
- 대상자가 병원 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에너지를 가지도록 하여 치료 활동에 도움을준다.
-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고 정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킨다.
간호사의 역할 및 태도
① 진행하는 활동요법의 종류와 목적, 기대효과, 진행절차, 적응증에 대해 잘 파악하고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② 활동요법을 자신에게도 적용해 본 경험이 많아야 한다.
③ 진행에 필요한 기술과 경험을 갖고 자신 있게 진행해야 한다.
④ 진행 상황과 장소에서의 돌발적인 변화와 어려움에 치료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판단력과 결단력 그리고 창의력이 필요하다.
⑤ 활동치료를 환자에게 이해시키는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⑥ 대상자가 충분히 자기를 표현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⑦ 대상자의 느린 진전이나 실수, 좌절, 거절에 대해 인내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치료적으로 가장 중요하다.
참고자료
· 정신건강간호학, 이경희 외, JMK, 2017
·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김선현. 2011. 예담
· 양은주,and 이정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美術治療硏究 22.2 (2015): 569-583.
· 신재균, 조현병 환자에 있어서 집단미술치료가 불안과 대인관계 및 정신병리에 미치는 효과
· 김경화, 김태환, 만성 조현병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해맑은 봄 심리발달센터, 서울심리상담센터, 201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