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 초점 교수법의 이해
- 최초 등록일
- 2021.07.08
- 최종 저작일
- 2021.07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외국어로서의한국어 문법교육론
[주제 : 형태 초점 교수법의 이해]
형태 초점 교수의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입력 중심의 기법과 출력 중심의 기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형태 초점 교수기법의 명시성 정도에 대해 논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형태 초점 교수의 배경
2. 입력 중심의 기법과 출력 중심의 기법
3. 형태 초점 교수 기법의 명시성 정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본적으로 제2언어의 습득 과정 및 발달은 다음과 같은 경로로 진행된다. “Input → 주목(noticing) → 이해(comprehension) → 내재화(intake) → 통합(integration) → output”이 그것이다. 언어에서는 습득이 중요한데, 그렇다면 습득은 언제 이루어지는 것일까? 일반적으로 습득은 새로운 언어의 형식이 중간언어에 통합되어서 중간언어의 재구축이 진행될 때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때 새로운 언어 형식이 중간언어에 효과적으로 통합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증거와 부정적인 증거 등을 포함하고 있는 다수의 ‘Input’이 필요하다.
여기서 ‘Input’은 긍정적인 증거의 ‘Input’과 부정적인 증거의 ‘Input’으로 구분된다. 보통 언어 습득은 ‘Input’의 긍정적인 증거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면 부정적인 증거의 ‘Input’은 제2언어의 습득 과정에서 왜 필요한 것일까? 그리고, 과연 꼭 필요한 것일까? 그에 대한 의견은 많이 갈리지만, 부정적인 증거 또한 언어 습득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도 많다. 통상적으로 ‘Input’과 대비되는 개념이 바로 ‘Output’이다. 학습자는‘Input’에 비해 ‘Output’ 할 수 있는 기회가 적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상대방에게 보다 정확하고도 적절한 ‘Output’을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해서 그를 산출할 필요가 있다. 그 과정에서 의미처리와 통어처리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언어 습득에서는 ‘Input’과 ‘Output’의 개념이 중요하다. 이에 나는 본 과제를 통해 ‘Input’과 ‘Output’에 대해 논해 보고자 한다. 그에 중심을 두고 있는 형태 초점 교수의 배경에 대해 알아보고, 입력 중심의 기법과 출력 중심의 기법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아울러 형태 초점 교수 기법의 명시성의 정도에 대해서도 작성해 볼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본론과 같다.
참고 자료
비비언 쿡, 언어학과 제2언어 습득, 경문사, 2016.
이주행,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론, 보고사, 2017.
조윤경, 형태초점 교수법의 명시성, 언어형태의 난이도 및 사전지식 수준이 언어 형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과학회,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