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지표연구의 발전
- 최초 등록일
- 2021.07.02
- 최종 저작일
- 2021.07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우리나라에서 삶의 질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사회지표가 관심을 갖게 된 것은 경제성장 위주였던 제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1962-1966)을 끝내고 다시 경제성장 위주의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1967-1971)으로 넘어가는 중간시기였다.
당시의 보건사회부는 이때부터 1972년에 시작되는 제3차 경제개발계획에 사회개발의 내용을 확충시키려는 정책의지를 가지고 사회개발 장기계획의 작성에 착수하였다.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