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공대 민속문화의 이해 리포트 - 민요
- 최초 등록일
- 2021.07.02
- 최종 저작일
- 2021.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민속문화의 이해 리포트 - 민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민요란 무엇인가?
2. 민요의 역사와 종류
3. 민요의 특징
Ⅲ. 결론
1. 민요에 대한 나의 생각
2. 참고자료
본문내용
▷ 서론
: 이번 리포트 주제인 ‘우리나라의 탈놀이와 민요’ 중 어느 것을 주제로 삼을지 고민하던 중, 민요에 대해서는 알고 있는 게 ‘아리랑’밖에 없고, 또 지역마다 아리랑이 다르다는 점이 생각나게 되어, 이번 기회에 우리나라 민요의 역사와 유래, 종류 등 민요에 대해 어렴풋하게나마 조사하고 공부하는 계기가 되고자 ‘우리나라의 민요’를 주제로 삼아 이번 리포트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 본론
1. 민요란 무엇인가?
: 민요란 쉽게 말해 민중들 사이에서 저절로 생겨나서 전해지는 노래로, 오랜 ‘구전’의 과정을 거쳐 전해지는 가운데, 과거와 현재를 결부시키는 연속성, 개인 혹은 집단의 창조적 충동에서 생겨나는 변이성, 그것을 전승해온 공동체에 의한 선택성 등을 그 중요한 속성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즉, 악보에 기재되거나 글로 쓰이지 않고 구전되어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으며, 지역에 따라, 개인의 취향에 따라, 즉흥적으로 바꾸어 부를 수 있으므로 민중의 소리이자, 민족의 정서를 잘 함축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민요의 역사와 종류
▷ 역사
: 우리나라 민요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고 합니다. [그물당기는소리]와 [땅다지는소리]는 신석기시대에 이미 존재했을 것으로 보이며, 청동기시대 이후 노동을 담당하는 피지배계층으로 구분되며 농경과 건축, 그리고 조선술 등이 발달 되면서 새로운 노래들이 거듭 출현했을 것으로 판단 된다고 합니다.
참고 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화포털 - 민요
김익두. (2014). ‘대중가요’에 있어서의 민요의 창조적 전승 문제. 한국민요학, 41(), 7-34.
강등학. (2009). 한국의 민요연구 역사와 문제의식의 추이. 한국민요학, 27(), 37-82.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이야기, 우리 소리 (민요)
한국어교육에서 민요를 활용한 문화교육 연구 현황과 제언(2017) - 배현숙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우리소리로 살다’ 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