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목적
본 실험에서는 인덕터 소자의 특성과 이로 인해 유도되는 성질, 그리고 전원을 인가하거나 혹은 제거했을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회로 내에서 인덕터 소자는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일반적인 경우, 전압에 대하여 이 적용될 것이므로, 이를 확인한다. 이후, 인덕터 소자와 더불어서, 커패시터 소자도 포함하는 회로를 구성하여 세 개의 소자를 모두 사용한 회로에서는 어떤 상황이 일어나는지 확인한다. 이후 AC 16 실험에서는 오실로스코프라는 기구에 대해 알아보고, 교류 전압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R-L-C 소자 즉, 인피던스와 리액턴스 성분에 대해 알아보고 그 값과 기술 식이 실험 결과에 부합하는지 확인한다.
2. 실험 원리
1) Inductor & Inductance ( 인덕터와 인덕턴스 )
인덕터랑 코일에 철심을 넣어 만든 2단자 소자를 말한다.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그 주위에 자장 (Magnetic Field)가 형성되고, 그 자장의 모양을 기하학적으로 표현한 것을 자력선 (Magnetic Line)이라고 한다. 전류와 자력선의 방향과의 관계는 “오른 나사 법칙”이 적용되어 전류의 방향이 나사가 진행하는 방향이라면 자장은 나사가 돌아가는 방향이다. 어떤 단면을 통하는 자력선은 묶음으로 따질 때, 자속 (Magnetic Flux)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로 표시하고 MKS단위는 웨버라고 한다. 이 개념을 종합하여, 코일을 생각해보자. 코일의 권선수를 N, 자속을 라고 하고 전자속이 코일과 쇄교할 때 총 자속 쇄교수는 =N가 성립한다. 이는 패러데이 법칙과 결합하여 생각하면, 자속 쇄교수의 시간적 변화율이 기전력이 되므로, 가 성립하게 된다. 이 기전력을 유기 기전력 혹은 유기 전압이라고 한다. 이제 주목해야 하는 것이, 전류에 의해 자속 쇄교수가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경우다.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구간에 대하여 < =Li >가 성립한다. 이는 앞서 구한 유기 기전력과 결합해보면 가 성립한다.
참고자료
· 방성완, 『처음 만나는 회로이론』, 제1판, 2016, p 154-207
· 김종오 외 3인 공저, 『알기쉬운 회로이론』, 제12판, 2019, p 95-103, 148-15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