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흉부외과 중환자실 간호의 이해
1. 심전도체계
2. 동기능 부전(sick sinus syndrome)
3. waveform 변형 시 중재
4. ABP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측정부위에 따라 동맥파형이 다양
6. A-line관리지침
7. Central venous line 삽입이유
8. Central venous pressure waveform
9. Swan-Ganz catheterization
10. Pulmonary artery monitoring
Ⅱ. 응급실
1. 중증외상 환자의 이해
2. 정의
3. 중증 외상 환자의 손상기전
4. ER function = Mortality
본문내용
Ⅰ. 흉부외과 중환자실 간호의 이해
1. 심전도체계
1) 심장의 전기전도 체계
- SA node: SVC~RA에 위치, 관상동맥에서 혈액공급
- AV node: RA wall에 위치(TV 옆), RCA에서 혈액공급
-Bundle of His: 우심방~심실 중격에 위치
2) 흥분전도이상
AV Block
- 1’Block: AV node, Bundle of His 의 긴 불응기가 원인, PR interval. 0.2
digoxine, Ca channel blocker
- 2’Biock :결합이 있는 AV node의 긴 불응기가 원인
①Mobitz 1(wenckebach) : P-P일정, PR 길어짐, Dropped QRS
②Mobitz 2: P-P, P-R regular, Dropped QRS
- High Degree Block: 하나의 QRA에 손실된 2개 이상의 P파(PR 간격: 다양)
- Completely Bloock: AV dissociation
2. 동기능 부전(sick sinus syndrome)
: SA node에서 규칙적인 등 율동 형성의 장애로 서맥이 유발되는 부정맥.
1) NIBP
- Noninvasive blood pressure monitoring
- Mercury BP< automatic BP< direct ABP
- 저혈압: 더 낮게 측정
· 측정부위 : radial, brachial, popliteal, posterior tibial artery
· 혈압 측정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
- proximity, gravity, patient movement: shivering, convulsions, heart-lung machine, obese patient
2) Zeroing
-목적: 대기압의 의한 영향감소, 정수압에 의한 영향 감소
-간격: 근무조당 적어도 1회
- Zeroing이 필요한 경우: transducer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 장소가 바뀌는 경우, 압력의 환자의 임상증상과 맞지 않는 경우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