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가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실제 현황과 자원봉사 활성화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의무적으로 청소년들에게 시행되고 있는 봉사활동 점수 인증제의 장단점에 대해 서술해보고자 한다.
- 최초 등록일
- 2021.06.22
- 최종 저작일
- 2020.06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자원봉사가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실제 현황과 자원봉사 활성화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의무적으로 청소년들에게 시행되고 있는 봉사활동 점수 인증제의 장단점에 대해 서술해보고자 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원봉사자 현황
1) 연도별 자원봉사 변화 양상
2) 성별에 따른 자원봉사 활동 양상
3) 지역별 자원봉사 활동 양상
2. 청소년 봉사활동 점수제의 장점과 단점
1) 청소년 봉사활동 점수제
2) 청소년 봉사활동 점수제의 장점
3) 청소년 봉사활동 점수제의 단점
4) 2019년 직업별 자원봉사자 활동 현황
3. 자원봉사자 활성화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원봉사활동기본법 제2조와 제3조에서 자원봉사에 대하여 ‘개인 또는 단체가 지역사회, 국가 및 인류사회를 위하여 대가없이 자발적으로 시간과 노력을 제공하는 행위’ 라고 정의하였다. 누군가의 강요나 사적인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발성을 가지고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다. 헌혈이나 캠페인, 무료 급식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일반 자원봉사와 자신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기술과 능력을 활용한 재능기부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보건복지부의 VMS와 행정안전부, 여성가족부 산하의 시스템을 이용한 자원봉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에 대한 실적이 학교와 연계되고 있어 청소년들에게는 보편화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본론에서는 자원봉사가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실제 현황과 자원봉사 활성화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의무적으로 청소년들에게 시행되고 있는 봉사활동 점수 인증제의 장단점에 대해 서술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자원봉사자 현황
1) 연도별 자원봉사 활동 현황
행정안전부와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에서 ‘2020년 자원봉사센터 현황’에서 공개된 연도별 자원봉사 활동 현황을 보면, 2012년부터 실인원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8년과 2019년에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자원봉사 활동의 참여율은 2012년에 8.6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2017년에 6.44%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자원봉사 활동 현황은 다음의 <표1>과 <그림1>의 내용과 같다.
참고 자료
류기형 외, 자원봉사론, 양서원, 2004.
이만식 외, 21세기 자원봉사관리, 학지사, 2010.
고수현(2003).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지역사회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자원봉사협의회. 복지행정 논총 제13집 제2권.
2020년 자원봉사센터 현황, 통계편, 행정안전부,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1365자원봉사포털, https://www.1365.go.kr/vols/main.do
자원봉사 점수제의 폐단, 동아닷컴, 2016.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