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태경, 2018, “이율배반의 정치경제 : 기본소득론 내부 이질성과 정치적 실현가능성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2018(0): 247-270.
· 경기복지재단, 2020, “기본소득과 복지정책의 관계”, https://ggwf.gg.go.kr.
· 권정미, 2017, “청년복지정책 결정과정 연구:성남시 청년배당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2013, “기본소득의 역사”, https://basicincomekorea.org/all-about-bi_history.
· 김병인, 2016, “기본소득은 사회보장을 위한 최선의 대안인가?: 사회정책의 필요(needs) 개념에 입각한 비판적 검토”, 『사회복지정책』, 43(4): 79-107
· 김하은, 2019, “기본소득 사례 비교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기성, 2020, “안심소득제는 범복지제도”, https://medium.com/lab2050/idea2050-617785d349d5
· 백승호, 2020, "더 나은 기본소득 논쟁을 할 권리 : 사회정책 분야의 논쟁 분석", 『경제와 사회』, (128):12-57.
· 분당신문, 2018, “성남시 올해 2분기 청년배당 지급... 대상자 1만773명”, 2018년 04월 19일.
· 손애성, 2017, “성남시 청년배당정책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아세아연구』, 60(1): 52-102.
· 윤혜린, 오민홍, 2021. 성남시 청년배당의 노동시장 성과에 관한 연구, 『경제연구』, 39(1): 31-65.
· 윤홍식, 2017, “기본소득, 복지국가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기초연금, 사회수당, 그리고 기본소득”, 『비판사회정책』, (53): 81-119
· 윤홍식, 남찬섭, 김교성, 주은선, 2019, 사회복지정책론,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 이건민, 2020, “No.20: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 이해하기: 배경, 설계, 결과, 평가”, https://alt ernative.house/alternative-issue-paper-no20.
· 이로운넷, 2020, “오세훈 ‘근로의욕 높이는 안심소득, 기본소득보다 우월’”, https://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20561
· 이명현, 2010, “시민권과 기본소득: 호혜성 원리 중심의 고찰”, 『사회보장연구』, 26(4): 433-457
· 이원재, 2020, "기본소득제 - 정의, 쟁점, 전망", 『시선집중 GSnJ』, (280): 1-12.
· 이현승, 2016, “[핫이슈 기본소득]① "유일한 복지 대안" vs "비현실적 포퓰리즘" 격화되는 논쟁”,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9/20/2016092002615.html
· 장인호(2017). 기본소득제도의 논의배경과 한계에 관한 연구. 『미국헌법연구』, 28(3): 297-342.
· 최병호, 박인화, 2021, “기본소득제도의 도입방안과 사회보장제도의 재편”, 『재정정책논집』, 23(1): 51-93.
· 투데이신문, 2019, “[기본소득은 미래인가①] ‘모두에게 혜택을’…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 될까”, 2019년 4월 12일
· 파이낸셜뉴스, 2021, “기본소득의 오해와 진실”, 2021년 03월 24일.
· 프레시안, 2020, “기본소득제를 비판하는 세 가지 이유”, 2020년 08월 03일
· 프레시안, 2020, “WSJ ‘이재명, 2022년 대선 구호로 전국민 기본소득'”, 2020년 10월 13일
· 한국금융연구원, 2021, “기본소득의 이해 및 찬반 논란”, 『주간금융브리프』, 30(5): 2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