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복지, 일가정양립정책, 육아휴직, 육아휴직급여, 개선방안
*보수*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Ⅱ. 일·가정양립의 필요성
1. 노동시장 이중구조와 여성의 취약성
2. 여성경력단절
3. 여성노동자의 비정규직화
Ⅲ. 우리나라의 일·가정양립 인식 및 정책
1. 사회적 인식
2. 육아휴직제도
Ⅳ. 발전방안
1. 사회적 인식
2. 육아휴직제도
Ⅴ. 결론
Ⅵ. 토론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2000년 이후 우리 사회정책에서 가장 관심 있는 영역 중의 하나가 일 가정양립지원이다. 일가정양립지원 정책은 평등이념에 의거해 고용에 있어 남녀의 평등한 기회와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여 여성고용을 촉진하면서 근로자의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하여 모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 법률이다.이러한 제도의 등장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남성생계부양자가 주를 이루었던 과거와 달리 시대가 변화하면서 그러한 역할구조는 무너지기 시작하였고 ,여성은 가사 노동자에서 임금노동자라는 역할이 추가적으로 생기며 이중적인 노동자가 되었다. 이와 같이 이중구조로 인한 여성은 남성의 가사노동 역할참여가 전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여성에게만 발생한 임금노동 역할 추가로 인해 노동과중 문제를 겪게 되었으며 사회문제로 다가왔다.
하지만 여성은 이러한 노동과중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노동시장에서 다양한 차별을 겪고 있다. 여성과 남성의 구별을 발생시키는 주된 요인인 출산과 육아라는 생애사적 사건으로 노동시장의 이탈과 노동시장 재진입의 어려움이라는 취약성을 가지게 된다. 이처럼 출산과 육아라는 생애사적 사건은 통계적 차별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동하기도 하는데, 출산과 육아에만 집중하는 정책은 사전적으로 발생하는 통계적 차별과 사후적 어려움 모두를 해결하지 못한다. (이정아, 이철, 최정은, 2017) 그러므로 일과 가정의 양립이 균형을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
요약하자면 우리나라의 여성은 이중 노동자로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사회는 출산과 육아의 책임을 대부분 여성에게 전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로 인해 출산과 양육이 여성의 막중한 부담으로 이어져 저출산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경력단절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하게 경력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이어지는 등 사회 전반적으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참고 자료
김원정, 2021, “코로나19 이후 여성 일자리 위기와 남은 과제” ,2021년 3월 19일.https://www.korea.kr/news/contributePolicyView.do?newsId=148885239
경향신문, 2019, “[북유럽서 찾은 모두의 육아]모두를 위한 육아휴직, 북유럽·한국의 차이다”, 2019년 6월 24일.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906240600025
이별님, 2019, “M자 곡선 심각한 韓 3040 여성 고용률”, 뉴스포스트, 2019년 10월 21일
http://www.news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73531
계민지, (2017), "여성근로자의 육아휴직제도 활용 및 근로지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지연 2016, “경단녀, 왜 한국에만 있을까?”, 프레시안, 2016년 12월 5일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45468#0DKU
조선일보, 2021, “청년들 인식 변하는데, 노동시장은 과거에 갇혀있다”, 2021년 1월 7일
https://www.chosun.com/special/future100/fu_general/2021/01/07/5OYATLXKVRCX3FQSGXCMAERHWI/
국가법령정보센터,2020,“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https://www.law.go.kr/LSW/main.html
여성가족부, 2019,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실태조사”,
http://www.mogef.go.kr/mp/pcd/mp_pcd_s001d.do?mid=plc500
한국고용정보원, 2017, “여성 노동시장 취약계층 분석”,
https://www.keis.or.kr/main/index.do
한국고용정보원, 2018, “여성 초단시간 근로자 현황”,
https://www.keis.or.kr/user/extra/main/2107/publication/reportList/jsp/LayOutPage.do?categoryIdx=126&pubIdx=4361&reportIdx=4642
고용노동부, “고용보험이란?“,
https://www.ei.go.kr/ei/eih/eg/ei/eiEminsr/retrieveEi0102Info.do
김준기․양지숙, 2012,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논총, Vol. 50 No. 4.
김동헌, 2014, “고용보험 사각지대의 국제비교와 정책방향”,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Vol.2014 No.10-S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