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장 건강관리
- 최초 등록일
- 2021.06.18
- 최종 저작일
- 2021.06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산업장 건강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산업보건 정의
2. 산업재해
1) 정의
2) 현황
3. 산업재해 질환
1) 만성폐쇄성폐질환
2) 석면폐증
Ⅲ. 결론
1. 과제를 하면서 느낀점
본문내용
Ⅰ. 서론
현대사회에서 직종의 다양화로 근로자들의 고용형태와 근무형태가 다양화되고 있다. 다양해진 직종으로 인해 현장에서 예상하지 못한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재해라고 하며 이 결과로는 인체의 손상, 재산상의 피해, 작업시간의 손실 등이 있다. 고용노동부 산업재해 발생현황 자료에 따르면 경제적손실추정액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지난해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손실추정액은 27조 6천억이라고 한다. 수치로 알 수 있듯이 그만큼 부상. 사망 피해를 입은 근로자 수도 늘어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산업보건, 산업재해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산업재해의 결과로 나타나는 질환에 대해 조사하여 질환을 극복하는 방법,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한다. 산업재해에 대해 교육하여 근로자들이 인지하다 보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산업재해의 발생을 줄여 안전한 산업장의 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이고 근로자들의 안전도 책임질 수 있을 것이다.
Ⅱ. 본론
1. 산업보건
사업장에서 보건상의 유해성을 배제하여 근로자의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즉, 근로자로 하여금 취업과정에서 그 업무에 기인해서 건강장해를 일으킴으로써 질병에 걸리거나 사망하게 하는 유해·위험인자를 제거하는 것, 또는 유해·위험인자가 제거된 상태를 말하며, 궁극적인 목적은 직업성 질병과 재해가 없는 건강하고 쾌적한 사업장을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환경조건(작업의 방법, 근로시간, 온도, 습도, 환기, 광선, 전리방사선, 소음, 진동, 기압)등과 근로자의 체력, 영양, 피로, 작업적성과 그 밖의 생활문제 등의 유해·위험요인 또는 인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법적인 목적으로 산업안전 보건법 제1조(목적) 이 법은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ㆍ증진 하는 것이다.
참고 자료
김광숙외 공저, 『지역사회 간호학 이론과 실제』, 현문사, 2019
고용노동부, http://www.moel.go.kr/index.do
석면피해구제시스템, https://www.adrc.or.kr/user/asbestos/disease.do?tab=ta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