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간호과정
1) 무가치감 및 우울과 관련된 자살의 위험
2) 통제력 부족과 관련된 비효과적 대처
본문내용
<사례>
60세 된 대상자는 옥시코돈/아세트아미노펜 다량 복용으로 정신건강의학과 병동에 입원하였다. 그녀는 남편이 6개월 전에 폐암으로 사망한 후 혼자 살고 있다. 그녀는 가정호스피스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집에서 남편을 간호하였다. 호스피스팀은 남편의 사망 후 한 달에 한 번씩 슬픔에 대한 상담을 하였다. 상담결과에 따르면, 대상자는 남편이 사망한 후 하루에 2~3시간 만 자고 하루에 한 끼를 겨우 챙겨 먹는 수준이며 체중이 4kg 감량되었다. 또한 하루에 소주 1병씩 마시며 우울감을 자주 느꼈고 가슴 답답함을 호소하였다. 대상자의 두 자녀는 다른 지역에 살고 있고 가끔 방문을 하였다. 그녀는 5년 전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주요우울장애를 겪었다. 호스피스 간호사는 그녀의 집에서 약병이 열린 채 쓰러져 있는 부인을 발견하였다. 간호사가 도착했을 때 그녀는 약 5알을 복용한 상태였다. 입원 후 대상자는 계속 죽고 싶다고 하였다. “전 이제 혼자 남겨졌어요. 살고 싶지 않아요. 나는 쓸모도 없고 죽고만 싶어요.” 그녀는 며칠 동안 빗질도 하지 않고 씻지도 않았다.
#1 무가치감 및 우울과 관련된 자살의 위험
진단 : 무가치감 및 우울과 관련된 자살의 위험
장기목표 1.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자살의 의도에서 벗어날 것이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로 자살계획을 시행하지 않을 것이다.
2. 대상자는 7일 이내로 자살사고에 대하여 치료팀과 이야기 할 것이다.
3. 대상자는 7일 이내로 Hamilton 우울평가척도가 17점 이하로 측정될 것이다.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 “전 이제 혼자 남겨졌어요. 살고 싶지 않아요.”
· “나는 쓸모도 없고 죽고만 싶어요.”
객관적 자료
· 옥시코돈/아세트아미노펜 다량 복용으로 정신의학과 병동에 입원하였음.
· 남편이 6개월 전에 폐암으로 사망하였음.
· 5년 전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주요우울장애를 겪었음.
· 우울감을 자주 느꼈고 가슴 답답함을 호소하였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