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B stone, cholecystitis 담낭염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6개, 우선순위 진단 3개에 대한 중재 6개이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A. 우선순위선정근거
B. 간호과정
1. 발한으로 나타나는 폐 기능저하와 관련된 고체온
2. 복합적요인(발열, 출혈)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3. 담낭제거 후 회복지연과 관련된 간기능장애의 위험
본문내용
I.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약간 춥다고 했다.
‘입맛도 없고 기운도 없다.’
객관적 자료
- 입원시: 키 160 cm, 몸무게 65kg, 진단명 GB stone, cholecystitis
술/담배 전혀 안함, 직업; 주부, 기혼(남편, 1남 1녀)
-응급실 방문 시: BP 130/70mmHg–R 88회/분–R 22 회/분–BT 37.2℃- SpO2 98% RBC 4.0X106 /μL , WBC 15000, Hb 12g/dL, Hct 40%,
Platelet 150000, Abdomen : soft abdomen, normal bowel sound, RUQ Murphy’s sign (positive)vomiting ; bile color (large amount)
-병동: BP 120/70mmHg–R 80회/분–R 18회/분–BT 37.3℃- SpO2 98%
BR
POD #1:
Ÿ 6:00AM 에 활력징후를 측정하기 위해 병실을 방문했을 때
V/S BP 130/80 – PR 80회/분 – RR 20회/분 – BT 37.2 ℃
WBC 17000, Total amlyase 150 U/L
경구약을 투약하려고 병실에 갔을 때 환자는 계속 자고 있는 상태였고 깨워서 경구약을 투여했을 때 흡인 없이 약을 복용한 후 다시 잠이 들었다. 환자는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 동안 자고 있는 모습이다.
<중 략>
II. 간호진단진술: 발한으로 나타나는 폐 기능저하와 관련된 고체온
간호진단명
한글: 고체온 영어: Hyperthermia (영역:11안전/보호 과: 6.체온조절)
간호진단의 정의
체온조절의 실패로 중심체온이 정상 범위 이상으로 상승한 것
· 윤은자 외 공저 (2020),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 송경애 외 공저 (2020),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 송경애 외 공저 (2020),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 대한마취과학회지 (복강경 및 개복하 담낭절제술 후의 간 기능 변화 비교)
· 약학정보원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