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Lung cancer, 중환자실 신규간호사 과제 제출
- 최초 등록일
- 2021.06.17
- 최종 저작일
- 2017.03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폐암, Lung cancer, 중환자실 신규간호사 과제 제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폐암 (Lung cancer)
1. 정의
2. 역학
3. 발생 원인 및 요인
4. 병태 생리
5. 증상 및 징후
6. 폐암의 진행단계
7. 진단 검사
8. 수술 및 치료
9. 수술 후 간호
본문내용
1. 정의
폐암이란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을 말하며, 암세포가 폐를 구성하는 조직에서 발생한 원발성 폐암과 암세포가 다른 기관에서 생겨나 혈관이나 림프관을 타고 폐로 이동해 증식하는 전이성 폐암으로 나눌 수 있다.
2. 역학
국가 암 정보센터에서 발표한 암 종별 발생 현황에 따르면 2011년도 암 발생자 총 218,071명 중 폐암은 28,112명(12.9%)으로 암 발생률 4위이다. 남자의 경우 44세까지는 갑상선암이, 50세-74세까지는 위암이, 75세 이후에는 폐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여자의 경우 60세까지는 갑상선암이, 70세-84세에는 대장암이, 85세 이후에는 폐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폐암은 세계적인 통계를 종합할 때 전체 악성 종양의 16%, 그리고 전체 암 사망률의 28%를 차지하는 흔하면서도 무서운 질환이다.
3. 발생 원인 및 요인
1) 흡연 : 일차적 위험요인
-흡연을 통해 폐 속으로 들어온 발암물질은 이에 노출된 세포에 유전자 이상을 초래하는데, 세포의 복구 능력에 따라 정상으로 돌아가기도 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 암이 발생한다. 흡연은 폐암 발생 원인의 약 90%로 추정되며 흡연 후 폐암이 발생하기 까지는 20~30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접흡연 : 공기 중 담배 연기라 불리는 연기의 복합물을 흡인하는 것으로 비흡연자가 흡연자의 담배연기에 노출되는 것을 말하는데 간접흡연자가 마시는 연기의 양이 흡연자보다 적지만 그 연기에는 여러 가지의 발암 물질과 니코틴 등의 독소가 존재한다.
⦁비흡연자
2) 공기오염
3) 직업 요인 : 석면, 탄화수소, 라돈, 니켈, 크로뮴과 같은 물질에 노출되는 것
4) 식습관 : 비타민 A의 결핍은 폐암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5) 유전 요인 : 가족력이 있는 경우, 가족력이 없는 일반사람들보다 2~3배 정도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참고 자료
국가암정보센터
의대생을 위한 흉부외과학/김원곤 외/고려의학/2010년
성인간호학(상)/전시자 외/현문사/201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