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역학 실험 중 잉크로 층류, 난류, 전이를 관찰하고 이때의 유량을 각각 측정하여 결론적으로 레이놀즈수를 도출했던 실험입니다.
관의 단면적과 유량을 이용하여 속도를 구하는 방법
Appendix를 이용하여 동점성도를 구하는 방법
이 나와있습니다.
대략 17줄이 되는 논의 및 고찰도 있습니다.
유체역학 실험 중 잉크로 층류, 난류, 전이를 관찰하고 이때의 유량을 각각 측정하여 결론적으로 레이놀즈수를 도출했던 실험입니다.
관의 단면적과 유량을 이용하여 속도를 구하는 방법
Appendix를 이용하여 동점성도를 구하는 방법
이 나와있습니다.
대략 17줄이 되는 논의 및 고찰도 있습니다.
목차
1. 이론
2. 실험장비
3. 실험결과 및 레이놀즈 수 구하는 방법, Appendix를 이용하여 동점성도 구하기
4. 논의 및 고찰
본문내용
이번 실험은 층류, 전이, 난류흐름의 양상을 관찰하고 각 양상의 레이놀즈 수를 직접 구하는 실험이다. 유리벽으로 된 탱크 안에 물을 채우고 유리관을 수평으로 설치한 다음, 밸브로 유량을 조절한다. 물감을 관 입구에 주입하여 실처럼 흐르도록 하고 유량에 따른 흐름의 양상을 관찰함으로써 층류, 전이, 난류흐름을 관찰할 수 있다.
1. 이론
⦁층류(laminar flow) : 유속이 느리면 측방향 혼합(lateral mixing)이 없으며, 마치 카드처럼, 인접한 유체 층이 서로 미끄러지듯 지나가며, 교차흐름(cross-current)이나 에디가 생기지 않는다. 즉, 물이 평행한 직선상으로 흐른다.
⦁난류(turbulent flow) : 유량이 증가하여 임계유속(critical velocity)에 도달하면, 물이 더 이상 평행한 직선상으로 흐르지 못하고 점점 흩어지기 시작하여, 마침내 관의 단면 전체에 퍼진다. 물은 더 이상 층류로 흐르지 못하고, 교차흐름과 에디를 형성하면서 멋대로 흐른다.
< 중 략 >
2. 실험 장비
1. 잉크저장용기
2. 잉크조절밸브
3. 유리관
4. 수조
5. 유량계
6. 물 조절 밸브
추가 장비 : 온도계, 스탑워치, 유리관 내부직경 측정 용 마이크로 미터
< 중 략 >
4. 논의 및 고찰
이번 실험은 Osborne Reynolds가 층류, 전이, 난류 흐름을 관찰하고 레이놀즈 수를 도출해낸 실험으로, 각 흐름을 눈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층류에서는 잉크가 일직선으로 흘렀다. 유량을 증가시키자, 일직선이 흐트러지기 시작하면서 구불구불해졌다. 계속해서 유량을 증가시키자, 잉크가 관 내에 퍼지면서 선의 형태를 잃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