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Result and discussion
4.1. Result
4.2. Discussion
5. Conclusion
6. Reference
본문내용
1. Date
2020년 9월 14일 월요일
2. Principle
정량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 황산구리(CuSO_4∙5H_2 O)에 포함된 구리의 함유량을 알아내는 것이다. 정량분석은 물질을 구성하는 양적 관계를 명확하게 하는 분석법의 총칭으로 우리는 그 중에서도 중량분석에 해당되는 침전법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중 략>
3.2. Procedures
결정황산구리(CuSO_4∙5H_2 O) 0.5g을 평량병에 미리 취하여 Sample 2개를 만든다. 우선 뚜껑을 닫고 빈 평량병 무게를 재고 시약을 넣은 후 다시 빈 평량병 무게를 잰다. 이 무게 차이를 이용하여 시약을 중량한다. 평량병으로 취한 시약 2개를 각각 증류수 100mL에 녹이면 청색의 수용액이 만들어진다. 앞선 수용액의 상층부에 붉은 리트머스 종이를 담궜을때 푸른색이 될 때까지 0.5N 수산화칼륨(KOH) 수용액을 1~2방울씩 떨어트려 섞어준다. 결정 황산구리를 수용액으로 하고 수산화칼륨을 가하면 수산화구리가 침전된다. 이 때 용액은 담청색을 띄며 가열을 할수록 그 색은 진해진다. 충분히 많은 침전물이 생기면 감압여과를 한 후 여과액에 1N 염화바륨(BaCl_2) 수용액을 가하여 흰색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을때까지 감압여과를 반복해서 수행해준다. 더 이상 흰색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으면 100℃에서 건조시킨다. 여과지까지 충분히 건조된 생성물은 여과지와 함께 도가니에 같이 넣어 가열한다. 갈색기체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6N 질산(〖HNO〗_3)용액을 2~3방울씩 떨어트려 여과지 재를 적셔준다. 이때 도가니를 살짝 기울이고 뚜껑은 반쯤 열어둔다. 갈색기체가 모두 빠져나가고 여과지가 전부 흑색이 아닌 회색이 되었을 때 도가니를 바로 하여 뚜껑을 덮어준다. 약 40분동안 700℃에서 소성(Calcination)작업을 거친 후 Desicator안에서 실온의 온도로 약 30분간 방냉한다. 방냉이 끝난 도가니는 무게를 정확히 재고 도가니만의 무게를 빼주면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산화구리(CuO)의 무게만을 알 수 있다. 그렇게 구한 산화구리의 질량은 Sample1이 0.2216g, Sample2가 0.1974g이었다.
참고자료
· https://ko.wikipedia.org/wiki/%EB%B6%84%EC%84%9D%ED%99%94%ED%95%99, 분석화학
· 안승구, 최신환경화학, 동화기술교역, p.327 (2001년)
· http://ywpop.tistory.com/5669, 가수분해 반응
· http://www.docbrown.info/page07/transition09Cu.htm, 산화구리
· http://web.lemoyne.edu/giunta/chm151L/copper.html, 물리적 변화
· 촉매첫걸음, 김영철, 전남대학교출판부, p.118 (2003년)
· 촉매공정, 서울대 유공연구실 동문, 서울대학교 출판부, p.54 (2002년)
· https://en.wikipedia.org/wiki/Desiccator, 데시케이터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