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실험목적
빛에너지와 이산화 탄소를 이용하여 포도당, 산소를 만드는 광합성의 이론을 알아본다. 그리고 광합성의 과정인 명반응, 암반응과정에 대해서 실험해본다. 또한 가스교환실험을 통해서 광합성을 한 후에 이산화탄소의 감소를 확인한다.
Ⅱ.이론 - 광합성
엽록체에서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와 물로부터 포도당(C6H12O6)을 합성하는 과정이며, 부산물로 산소가 발생하는 반응이다. 광합성은 생태계에서 생산자들이 영양분을 얻기 위해서 사용하는 반응이다. 광합성은 모든 생물들에게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직접적으로 광합성을 영향을 받는 것은 독립영양생물이다. 이들은 광합성을 이용해서 필요한 유기물을 생성하여 스스로 살아간다. 종속영양생물은 독립영양생물이 생성하는 산소에 의존한다. 광합성의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중 략>
Ⅴ.고찰
명반응 실험 결과에 대한 고찰
실험 결과를 보게 되면 명처리에서 파랑색이였던 용액의 색이 노란색으로 변화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에서 보면 암처리군이 명처리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0.3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먼저 색깔이 변화한 이유는 명반응에 들어있는 DCPIP의 감소이다. 일반적으로 환원되지 않는 DCPIP는 파란색을 띈다 그것이 실험 전 동일한 조건의 코니컬 튜브에 담긴 시료들의 모습이다. 하지만 이러한 색깔 변화로 명처리 조건에서는 빛이 필수로 있어야만이 진행이 되는 명반응이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명반응의 과정에서 전자전달계를 통해서 들뜬 전자가 NADP+에 결합되어 NADPH로 된다. 이 실험에서는 NADP+ 대신 전자 수용체로 DCPIP를 넣어 주었기 때문에 명처리조건에서 DCPIP는 환원이 되어 더 이상 파란색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흡광도 결과의 차이는 눈으로도 보이는 두 시료 색 차이라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 Korea Open course Ware. 7장 광합성. http://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chungnam/parkkeewoong/7.pdf 에서 2020.04. 21인출
· biozoa. (2014. 11) 광합성. http://biozoa.co.kr/wp-content/uploads/2014/11/07%EC%9E%A5-%EA%B4%91%ED%95%A9%EC%84%B1.pdf 에서 2020.04.21. 인출
· biozoa. (2014.11). 광합성과 가스교환 실험
· http://biozoa.co.kr/wp-content/uploads/2014/11/%EA%B4%91%ED%95%A9%EC%84%B1%EA%B3%BC-%EA%B0%80%EC%8A%A4%EA%B5%90%ED%99%98-%EC%8B%A4%ED%97%98.pdf에서 2020.04.21.인출
· I-beakseok.2010 생2-수업프린트-02
· 물질대사.file:///C:/Users/sher1/Downloads/2012+%EC%83%9D2-%EC%88%98%EC%97%85%ED%94%84%EB%A6%B0%ED%8A%B8-02+%EB%AC%BC%EC%A7%88%EB%8C%80%EC%82%AC%20(2).pdf에서 2020.04.21. 인출
· 에듀넷.광합성의 개관http://www.edunet.net/nedu/contsvc/viewWkstCont.do?contents_openapi=google&clss_id=CLSS0000000361&menu_id=87&contents_id=a3cfd0c2-6725-41d0-a1be-98f03f7ae669에서 2020.04.21.인출
· Tistory(2015.01.24). DCPIP를 이용한 명반응 실험. https://ccdream.tistory.com/entry/DCPIP%EB%A5%BC-%EC%9D%B4%EC%9A%A9%ED%95%9C-%EB%AA%85%EB%B0%98%EC%9D%91-%EC%8B%A4%ED%97%98에서 2020.04.21인출
· 사이언스올.(2015.09.09.).명반응..https://www.scienceall.com/%EB%AA%85%EB%B0%98%EC%9D%91light-reaction/에서 2020.04. 21인출
· 사이언스올(2015.09.09.).암반응.https://www.scienceall.com/%EC%95%94%EB%B0%98%EC%9D%91dark-reaction/에서 2020.04.21.인출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