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목차
1. 사례 1
2. 대상자 자료 수집 2
3. 간호과정 적용 4
4. 참고문헌 8
본문내용
사례
30세 유XX씨는 30주 된 초산부로 26주에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고 운동과 식이요법을 시행하였으나 혈당관리가 잘되지 않아 입원하였습니다.
산모는 최근 심한 갈증을 느끼며 자주 피로함을 느꼈습니다. 소변이 잦고 양이 많으며 소변에서 악취가 나는 증상이 심해져서 원인을 알기 위해 병원에 내원했고 임신성 당뇨 진단을 받았습니다.
산모는 평소 건강하였으며 친정어머니가 당뇨병이 있어 약물치료 중이었습니다. 신장 164cm, 체중은 75kg(임신 전 69kg)이었으며, 혈압은 정상이었습니다. 진단 후 혈당관리를 위해 식사관리에 관하여 교육을 받았고 자가 혈당 측정(4회/일)과 운동에 관한 교육을 받고 1주 후에 외래 방문하기로 하였습니다.
산모가 1주일간 기록한 자가 혈당 측정 결과에서 혈당은 조절되지 않고 있었습니다. 상담을 시행한 결과 식사 조절이 적절하게 되고 있지 않았으며 혈당조절을 위해 인슐린 치료를 시작하기로 하였습니다.
<중 략>
간호과정 적용
1) Data collection
의미 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 “혈당이 자꾸 높게 나오네요“
● “임신성 당뇨인데 어떻게 하면 되나요?”
● “혈당검사를 원래 이렇게 자주 하나요?”
● ”당뇨가 있으면 임신성 고혈압의 발생 가능성이 정상 임산부보다 높다고 하는데 괜찮나요?“
● “임신성 당뇨병인 사람들은 출산하고 나서 나중에 당뇨병에 걸릴 수가 있대요”
● 가족력이 있음(모 당뇨)
● BST결과 혈당이 높게 측정됨
● 5월 10일 임신성 당뇨 진단받음
5/17
(입원일)
1회
131mg/dl
2회
239mg/dl
3회
260mg/dl
4회
238mg/dl
5회
193mg/dl
● “아기는 괜찮겠죠?”
● “아기가 저 때문에 당뇨병에 걸리는 것은 아니죠?”
● “인슐린이 아기에게 영향을 줄까 봐 불안해요”
● “아기가 기형으로 태어나는 건 아니죠?”
● 질병에 대해 이야기하면 목소리가 떨리고 걱정스러운 표정임.
● 혈당 체크 시 아기에 관한 질문을 많이 함
● 단것을 무조건 먹지 않으려 함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