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 변화 보고서
널스율짱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국내외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 변화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Ⅰ. 서론 - 최근 자주 발생하는 국내외 감염병의 종류,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문헌고찰 내용을 기술하시오.Ⅱ. 본론
1. 국내와 국외(예; 미국, 영국 등)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을 기술하고, 정책의 변화에 대해 기술하시오.
2. 국내 · 국외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비교 분석한 내용을 기술하시오.
1) 유사점
2) 차이점
3. 향후 개선된 국내 · 국외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 정책 수립을 위한 제안과 수정해야 할 점을 기술하시오.
1) 향후 국내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제안과 개선점
2) 향후 국외(예; 미국, 일본 등)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제안과 개선점
Ⅲ. 결론 - 과제를 수행하면서 느낀 국내 · 국외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자신의 의견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감염관리에 관심을 가진 전문가들이 감염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였으나 병원 경영진에 대한 유인력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거의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1980년대 들어 임상간호사회, 감염학회, 내과학회 등에서 감염관리에 대한 관심을 가지며 몇차례 세미나와 심포지엄 등을 개최하였다. 1991년 국내 최초로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감염관리간호사를 임명하였으며, 이후 몇몇 대학병원에서 전담감염관리간호사가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감염관리업무가 정착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감염관리간호사는 의료기관에서 환자, 보호자, 직원, 방문객 등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감염관리 업무를 수행하는데 핵심인력으로 감염관리 효과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지난 2015년 5월에 우리나라에 유행한 메르스의 경우에는 총체적으로 정부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의료기관에서까지 허술한 방역체계를 드러내었고, 초기 상황에 대한 감염병 정보공유가 지연되어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국민 개개인들은 본인들의 생존을 위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등으로 검증되지 않는 정보를 입수하여 자구적인 대비책을 갖추었다. 의료기관에서는 감염병 환자를 치료해야 함에 따라 의료진 본인의 목숨을 담보로 보이지 않는 감염병과 사투를 벌이고, 사회적으로 점차 정보공개가 이루어짐에 따라 메르스 사태는 2015년 7월 28일 정부가 사실상 종식을 선언하여 따라 종결되었다. 당시 메르스 사태 때 종사하였던 의료기관의 비상 대비업무담당자들은 기관별로 역할이 상이하여 메르스 대응 복구에 참여를 적극적으로 한 기관이 있는 반면에 그러하지 못한 기관도 있었다. 그래서 메르스 등 신종 유행 감염병으로부터 안전을 보장받아야 하는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비상대비업무담당자들이 이와 유사한 사태시 어떻게 대비와 대응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 연구볼 필요가 있다.참고 자료
김춘미 외 공저, 제2판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수문사, (2019)이한수. (2011). 우리나라 법정전염병의 지역적 분포패턴과 발생사례 연구. 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 학위논문
탁상우 외 (2020). COVID-19: 대한민국의 보건정책과 보건의료체계 관점에서 대응경험. 한국 국제협력단. 연구보고서
서경화 외 (2015). 감겸병 발생 시 우리나라의 위기관리체계에 관한 고찰.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Vol. 29. No. 4. 219-242.
손창우. (2020). 코로나19(COVID-19) 대응을 통해 본 서울시 신종감염병 관리의 현재와 미래.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
2020 총선대비 보건의료 정책제안.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의료정책포럼
뉴스기사 <특별기고>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의 감염병 예방관리와 대응체계 http://www.hankookin.net/106743
감염병포털(웹사이트). 법정감염병(급별). https://www.kdca.go.kr/npt/biz/npp/portal/nppLwcrIcd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