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내분비계 신장계 검사 메뉴얼"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1. 내분비계 검사1) 진단적 특수 검사
(1) 당뇨합병증 검사(Neurometer, PWV + Toe pressure, IMT, 자율신경계 이상검사)
(2) 당뇨교육
(3) USG(Ultra Sonography)
(4) CT
(5) MRI
(6) PET CT
(7) 근전도 검사
(8) Mammography & BMD
(9) WBBS
(10) EGD, CFS, Sigmoidscopy
(11) 갑상선 기능 관련검사(I-131 thyroid uptake, Tc-99m thyroid uptake, Thyroid scan Tc-99m / I-131, 24hr. RAIU(Radioactive iodine uptake) )
2) 진단적, 혈액, 소변 검사
(1) Cocktail test
(2) ACTH stimulation test
(3) Oral GTT
(4)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5) 수분제한검사(Water deprivation test)
(6) Insulin, C-peptide 검사
(7) Glucagon tolerance test
2. 신장계 검사
1) 진단적 특수 검사
(1) Kidney Bx.
(2) DMSA renal scan
(3) DTPA renal scan
(4) RGP(Retrograde Pyelography)
(5) Venogram
(6) 중심정맥 catheter 삽입(Jugular,perm,PICC등)
(7) PCD(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 경피적 도관배액)
(8) IVP(Intravenous pyelogram)-경정맥신우 촬영술
(9) Bone marrow Bx.
2) 진단적, 혈액, 소변 검사
(1) 혈액투석 적정도 평가(KT/V, URR(urea reduction ratio), PRU(percent reduction of urea)
(2) 복막투석 적정도 평가(Adquacy test, PET test)
(3) 24시간 urine microalbumin
(4) 24시간 크레아티닌 청소율 검사(CCR, creatinine clearance test)
(5) 24hr. urine VMA(Vanillylmandelic acid) & 카테콜라민 검사
(6) Renin-aldosterone study
※ 부록> Chemoport 유지 및 관리법
본문내용
1. 내분비계 검사1) 진단적 특수 검사
1> 당뇨합병증 검사
◆ Neurometer
① 장소: 당뇨합병증 검사실( 당뇨센터 12번방)
② 방법: 말초신경을 자극하여 신경계 합병증 유무 검사함.
③ 목적: 말초신경손상정도의 계측.
◆ PWV + Toe pressure
① 장소: 당뇨합병증 검사실( 당뇨센터 12번방)
② 방법/목적
ⅰ) PWV(Pulse Wave Velocity) : PWV은 혈액이 동맥혈관을 흐르는 속도이며, 혈관의 길이와 맥파의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구한다. 이러한 맥파 속도는 혈관의 탄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 동맥 경화정도가 심할수록 PWV는 증가한다.
ⅱ) ABI(Ankle Brachial Index) : ABI는 상완혈압과 발목혈압의 비로 하지동맥의 협착을 나타낸다. ABI 값이 0.9 이하면 혈관 협착이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 동맥경화검사의 주요인자는 PWV와 ABI 값이며 이를 객관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 사지 맥파, 사지 혈압 정보, 맥압의 신호 강도 등을 표시한다. 심장 관련하여 ECG, PCG, STI(Systolic Time Interval)를 측정한다
ⅲ) Toe pressure 발가락에 압력을 주어 말초혈액순환 정도를 관찰한다.
◆ IMT(경동맥 내중막 두께)
① 장소: 당뇨합병증 검사실( 당뇨센터 12번방)
② 방법: 경동맥 초음파 통해 경동맥의 내중막 두께 측정.
③ 목적: 경동맥의 동맥경화는 정도와 경동맥내의 혈전의 유무를 검사함으로서 뇌졸중의 위험도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
◆ 자율신경계 이상검사
① 장소: 당뇨합병증 검사실( 당뇨센터 12번방)
② 방법/목적: 1) 기립성 저혈압검사
기립시 심한 혈압변화의 주된 요인은 혈액량이 적어지기 때문인 경우가 많지만 자율신경(특히 교감신경계) 이상이 있을 때 흔히 관찰되며 Tilt table을 이용하면 좀더 민감하게 검사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