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중국 인구정책과 경제성장
1. 중국 인구정책 출발과 그 변천 과정
2. 중국 인구정책 경제성장과의 상호관계성
Ⅴ. 중국의 인구정책과 경제성장의 시너지 전망
1. 중국 인구정책-경제성장 현황과 시사점
2. 인구정책과 경제성장 사이 딜레마 극복 방안
Ⅵ. 결 론
VII. 참고 문헌
본문내용
최근 중국은 산아제한 제한 정책에 대해 사실상 폐지를 선언했다. 인구가 많으면 많을수록 경제발전이 쉬울 것이라는 공식, 또는 출산율과 함께 생산가능인구가 높다 면 경제발전을 더 빨리 이룩할 수 있다는 공식. 그래서 우리는 이러한 인구구조를 이루고 있는 개발도상국들을 바라볼 때 앞 전 공식의 시선으로 개발도상국의 잠재적 경제개발을 기대한다. 아주 막연히, 그들은 인구가 많으니 경제발전을 되도록 빨리 이룰 수 있을 거라는 것. 사실 세계 2차 대전 이후, 1950년대에는 늘어나는 인구 수가 기술 개발과 제도의 발전을 장려하는 효과가 있어 경제발전에 이바지한다는 시선이 있었기 때문에 인구가 늘어나는 자체에 세계인의 태도는 낙관적이었다. 필자 또한 그러한 일차원적 시선으로 바라보았던 사람들 중의 한 명이었지만 어느 순간부터 정말 인구가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 것일까? 라는 의문점을 던지게 되었다. 인구가 많으면 많을수록 경제발전에 큰 도움이 된다면 지금쯤 경제발전을 이루었거나 큰 차도가 있는 개발도상국이 많아야 하는 것인데, 아직은 눈에 크게 띌 정도로는 없는 것이다. 오히려 인구가 많을수록 환경 사회적인 문제가 더 극심할 뿐이다. 가령 인도 같은 경우도 인구 대국으로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엄청난 인구에 비해 경제성장률이 인구증가속도와 비례하지 못하면서 국가 내 환경사회 시스템이 열악한 것이 현실이다. 우리는 인도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제대로 된 사회적 발전과 인프라 구축이라는 밑바탕 없다면 무분별한 출산과 인구 증가는 오히려 빈곤이 빈곤을 낳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악순환의 반복 끝에는 결국 오늘날 개발도상국들이 순차적인 경제발전의 단계를 거치지 못한 상태에서 고령화 시대를 빠르게 맞이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회적 악순환을 끊고 경제적 초반을 다지기 위해서는 무분별한 출산을 억제하는 인구정책이 개발도상국들에게 필요하다.
참고자료
· 김상호. 글로벌고령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Web. Sep. 12. 2019)
· 김상호 외. 경제성장을 선도하는 인구 전략.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 양평서. 중국경제의 성장 과정과 동인. 대외경제정책연구. 2013.01
· 우합용. 인구변동의 국제 동향과 중장기 인구정책 방향. 13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Web. 2017)
· 유연실. 中華人民共和國 건국 초기 (1949~1958) 인구정책의 변화. 2014
· 은기수 외. 대학인구교육교재 개발. 보건복지부 연구용역. 2011)
· 이경희. 현대화 과정에서 한국과 중국의 산아제한정책 비교연구. 2005.
· 이미래. 산아제한 역사속으로… 14억 인구대국, 인구결핍에 신음. 뉴스 핌. 01.28.2019
· 이성표. 경제성장의 이해. 경제정보센터. 2009. 11. 04.
· 정철호 김창도. 중국에 다가오는 인구절벽 충격. POSRI 이슈리포트. 포스코경영연구원. 2017
· 조영신. 글로벌 노동시장의 변수 ‘중국 인구’. 아시아경제. 2021.05.11.
· 제주중국연구센터. 중국 두 자녀 인구정책. 제주발전연구원. 2015. 12. 07
· 한춘리앙. 중국 고령화의 실태, 원인 및 정책대응. 부경대학교. 2009. 08
·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Web. 인구정책 > 시기별 인구정책 > 1960-1980년대 (archives.go.kr)
· 짱스위엔. 중국 인구정책의 변화과정과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산아제한’정책에서 ‘전면적2자녀’정책까지. 동국대학교. 2017
· George Magnus. The AGE of AGING: How Demographics are Changing the Global Economy and Our World. 201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