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의 핵심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고령화, 현대인의 과도한 스트레스 등과 맞물려 힐링과 케어에 대한 니즈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만 18세~64세 성인 4명 중 1명은 평생 적어도 한 번 이상의 정신질환을 겪는다고 하며, 주의력결핍 또는 과잉행동장애(ADHD), 조울증, 조현증, 불안/공황장애 등이 현대인들이 주로 겪는 정신질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회원국 중 1위로서, 2018년 기준 회원국 평균의 2배를 넘어서는 10만 명당 26.6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22년까지 자살률을 17명으로 줄이겠다고 공표한 바, 현대인의 정신건강 유지에 도움이 되는 힐링 시설 및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농촌마을과 관광, 지역사회 돌봄분야가 협력해 적극적으로 사회문제 극복에 역할을 할 필요성이 있다.
장기간의 코로나19 확산사태로 인한 심각한 국민건강 문제와 사회적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치유농업(Agro-healing)서비스가 부상하고 있다. 또한 치유농업에 대한 법적 제도화를 추진하여 2020년 3월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법’이 국회 본 회의에서 통과됨으로써 치유농장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유럽 선진국들의 대표적인 신체, 정신적 돌봄 프로그램으로써 케어팜은 농사와 치료가 결합된 개념이라 보건복지와 농업 관련 정부 부처들과 관련 지자체, 환자, 의사, 농부 등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관여하는 다기능적 치유농업 환경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레포트에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구성 및 운영, 거버넌스(governance)를 어떻게 하는지 그 설계를 살펴볼 것이다. 특히, 중앙정부 주도하에 지역 농가들이 안정적으로 케어팜을 확산해온 네덜란드와 지역별 협동조합과 지자체를 중심으로 단기간에 빠르게 케어팜을 확산한 벨기에 사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