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를 주제로 한 보고서로 내용과 최근현황 및 간호학적 접근 방법을 통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1. 선정 동기
2. 최근 현황
3. 관련 내용
4. 해결방안&간호학적 접근
본문내용
아동학대 사례는 2015년 1만1715건에서 5년 사이 3배 가까이 증가했다. 또한, 지난해보다 아동학대 신고 건수가 1년 사이 5000건 가까이 늘어 4만1000건을 넘어섰다. 학대 10건 중 8건은 집에서 일어났고 학대 행위자 10명 중 7명은 아동의 친부모였다. 부모 가운데서도 친부가 1만2371건(41.2%), 친모가 9342건(31.1%)이었으며 친부모 외에 대리양육자, 친인척 순으로 학대 건수가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아동학대 발생 장소는 가정 내에서 발생한 사례가 총 2만3883건(79.5%)으로 가장 높았고 주요 아동 돌봄 기관인 학교, 어린이집, 유치원은 각 2277건(7.6%), 1371건(4.6%), 139건(0.5%) 순이었다. 지난 한 해 아동학대로 사망에 이른 아동은 총 42명이며 이 중 0세~1세의 아동은 45.2%였다. 이는 신생아 및 영아가 학대에 의한 사망에 가장 취약한 집단임을 알 수 있는 지표이다.
참고자료
· 김서영기자. [지난해 학대받아 사망한 아동 42명...“표정.행동에 관심을”]
· https://www.yna.co.kr/view/AKR*************0530?input=1195m
· [지난해 아동학대 신고 4만건 넘었다...가해자72%는 친부]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03&aid=0010049241
· 김경화. 간호대학생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간호연구학회지. 2017;1(2):1-10
· file:///C:/Users/Main/Downloads/3.%20%EA%B9%80%EA%B2%BD%ED%99%94.pdf
· 이은희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서울:고문사; 2019. p.217-308
· 박호란 외.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상권. 서울: 현문사; 2014. p.24-3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