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동기
7/19일 fever 있어 해열제 처방받고 귀가하여 경과관찰 하던 중 39.4°C 열나 local 응급실 내원 후 line keep 하던 중 양쪽 팔 위로 뻗고 다리 오므린 채 힘없이 늘어진 모습 동반하여 cyanosis, desaturation(SpO2 26%) 있고 이후 늘어진 양상 경련 지속됨. nasal O2 적용, chest compression 1분간 시행 후 SPO2 90대 회복하였고 이후 구급차 타던 중 경련 멈추고 멍한모습 10분간 지속 후 mental alert해짐. 이후 본원 응급실 통해 입원함.
FHx
- 아버지: 열성경련
- 누나: 11개월~4세 때 총 4회 열성경련
2. 문헌고찰
진단명: febrile convulsion
생후 9개월에서 5세 사이의 소아에서 중추 신경계통의 감염증이나 대사질환 없이 열과 동반되어 발생하는 경련 질환
⑴ 원인 및 유발요인
열성경련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부모나 형제가 열성경련의 병력이 있으면 일반인보다 3~4배 정도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유전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열성경련을 유발하는 열성 질환은 약 70%가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으로 편도염, 인후염, 중이염 등이 대부분이고 그 밖에 위장염, 돌 발진도 원인이 될 수 있다.
⑵ 임상증상
경련은 열성 질환 초기의 열이 갑자기 오르는 시기에 잘 일어나며 대개 전신형 발작으로 의식이 없어지면서 전신이 뻣뻣해지고(전신강직) 떨게 된다(전신간대). 발작은 대개 수분 이내에 멈추게 되고 15분을 넘는 경우는 드물다.
참고자료
· 김영혜 외 (2018),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 김영혜 외 (2018),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labtestsonline.kr
·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searchDrug
· 의학품정보,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http://sev.iseverance.com/children
· Ae Ree Kwak · Jin Sun Kim, “Caregivers’ Knowledge, Concerns and Management of Pediatric Febrile Convulsions”, Child Health Nurs Res, Vol.20, No.3, July 2014, 149-158p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