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희정, 2015, “입양실천에서 나타나는 정상가족 담론과 미혼모 자녀의 ‘고아’만들기.” 『페미니즘연구』, 15(1): 51-98.
· 이용우, 2017,“한국사회 미혼모 지원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한국사회정책』, 24(1): 97-115.
· 이용우‧양호정, 2017, “양육 미혼모의 자립지원 프로그램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1(1): 115-145
· 이준일, 2012a, “미혼모의 인권과 법정책”, 『고려법학』, 64:139-171.
· 김혜영, 2013,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배제”, 『젠더와 문화』, 6(1): 7-41.
· 여성가족부, 2017년 한부모가족지원사업 안내, http://www.mogef.go.kr.
· 김희주, 2015, “미혼모의 의료서비스 이용경험에 대한 사례연구”,『한국사회복지학』, 5: 181-214
· 성정현‧김희주, 2016, “미혼모가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역사적‧사회적 배경에 관한 소고”, 『가족과 문화』, 28(1): 33-58.
· 임해영‧이혁구, 2014, “양육 결정 미혼모의 초기 모성 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5(3): 35-69.
· 김지혜‧조성희, 2016, “양육미혼모의 자립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8(2): 149-180.
· 권희정, 2011, “인권, 모성권, 아동복리 측면에서 본 비혼모를 둘러싼 쟁점들”, 『이화젠더법학』, 2(2): 52-78.
· 이준일, 2012a, “미혼모의 인권과 법정책”, 『고려법학』, 64:139-171.
· 정현미, 2011, “비혼모에 대한 한국사회 처우와 권리 보장 방안”,『이화젠더법학』, 2(2): 109-134.
· 남승연, 2016, 『비혼에 관한 담론분석』, 경기:(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 심경미, 2003, “‘비혼(比婚)’여성에 관한연구:30대 중반 이후 40대 여성의 경험을 통해 본 비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순선‧민문기‧정소연, 1989, “우리나라 미혼모 복지시설 현황에 관한 고찰”, 『원광사회복지학』, 4: 109-136.
· 허남순, 1986, “미혼모 발생의 요인 규명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8: 107-121.
· 한영란‧양순옥, 1997, “미혼모의 임신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1(2): 194-208.
· 엄선영‧김태은‧정명선‧서지영, 1996,“미혼모 실태 및 복지에 관한 고찰”, 『가정관리연구』, 15: 109-134.
· 황옥자‧윤미현, 1996, “한국 미혼모 특성변화에 대한 연구”, 『동국논총』, 35: 219-247
· 전주람, 2016, “북한이탈여성들의 심리사회적자원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4): 47-72.
· 송효진, 2019, “비혼모에 대한 법제도 운영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0-92.
· 함혜리, (2020.12.01), “[톺아보기]비혼출산과 저출산 해법”, 「아시아경제」, https://www.asiae.co.kr/article/opinion-column/2020113008291036359.
· 정종훈,이에스더, (2018.03.30), “북유럽·프랑스 등 혼외 출산 많은 선진국, 출산율도 높다”,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2490927.
· 박소영, (2020.11.20), “국민은 '비혼 출산' 가능하다는데…법과 제도는 '가시덩굴”,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111909540002854.
· 이재상, (2019.05.26), “남녀 불문 90%, 외국인과 결혼 가능…비혼동거도 3분의 2 찬성”, 「News1」, https://www.news1.kr/articles/?3630543.
· 곽명섭, (2020.12.09), “[논설위원의 시선] ‘비혼 출산 시대’ 오나”, 「부산일보」,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120918014587625.
· 이미정, 2009, 『한국의 미혼모 복지에 관한 연구: 해외입양, 관련통계, 선진국의 복지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4면.
· 이성우, 2018, “인구보건복지협회, 양육미혼모 실태 및 욕구 조사 결과 발표”, 「복지타임즈」, http://www.bokj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41
·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 역, 2015, 『질적 연구방법론』, Creswell, J, W., 2013,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서울: 학지사.
· 신경식‧서아영‧송민채 역, 2016, 『사례연구방법』, Robert K. Yin., 2014, Case Study Research, 서울:한경사.
· 성미애ㆍ진미정 (2009). 빈곤 한부모 여성의 부모권 보장과 일ㆍ가족 양립. 가족과 문화,
· 21(3), 1-28.
· 이정빈 (2013). 한부모 여성의 부모역할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4), 499-532.
· 문은영 (2011). 서울시 한부모가족 실태조사를 통해 본 부자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공공사회연구, 1(2), 135-174.
· 한정원 (2014). 한부모가족지원사업의 효과성 연구. 여성학회지, 24(2), 159-195.
· 김나희ㆍ조영규ㆍ강재헌ㆍ박현아ㆍ김경우ㆍ허양임ㆍ권두호 (2018). 한국 청소년에서 부모와의 동거 형태에 따른 비만율 차이: 동거 부모 성별의 영향. Korean J Health Promot, 18(4), 2234-2141.
· 이유진ㆍ김명숙ㆍ홍성경 (2019). 한부모가정과 양부모가정 초등학생의 건강행태 비교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2), 711-720.
· 김현숙 (2015). 한부모 가족의 기간이 자녀의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로. 한국가족복
· 지학, 47, 5-28.